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d라이브러리
"
미터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하늘을 날 수 있지.2001년에 개발된‘ 솔로트렉’ 이라는 이름의 이 비행체는 최고 8000
미터
까지 올라갈 수 있어. 2020년이 넘으면 우리나라에서도 이게 등장한대. 15년만 지나면 투덜이도 두 날개를 달고 하늘에 올라가 아빠와 놀 수 있을 거야.다른 방법도 있어. 탄소나노튜브라고하는 물질로 만든 인공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속에 굴을 파서 집을 짓고 산다. 여왕개미 한 마리를 중심으로 건설된 개미 왕국은 수십
미터
길이에 수백 개의 방이 있을 정도로 복잡하다.땅 속에 묻혀 보이지 않던 개미의 생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과학완구가 나왔다. 바로 2005년 타임(Time)지가 선정한 10대 장난감 중 하나인 앤트워크(AntWorks)다 ... ...
손가락처럼 민감한 센서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5μm(마이크로
미터
, 1μm=100만분의 1m)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으며 필름의 두께는 100nm(나노
미터
, 1nm=10억분의 1m)다.사라프 교수는 “이 센서를 이용하면 물체의 형상이나 결, 단단함까지 탐지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접었다. 대신 그는 화학자들이 연구하는 세계를 내려다보고 있다. 다른 화학자들이 나노
미터
크기의 물질을 다룰 때 그는 그 물질들이 모인 마이크로 크기의 구조물을 연구하기 때문이다.그는 학생들에게 “그림을 관람할 때 뒤로 물러나 전체 모습을 보라”고 말한다. “그래야 더 크게, 더 깊게, 더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mm)를 합쳐서 밀리미크론(mμ)을 써왔으나, 현재는 나노로 대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노
미터
는 종래의 밀리미크론과 같은 값이다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거의 영인 소립자 원자로에서 강력한 β방사성 물질이 양산되어 존재가 확인되었다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고 작업에서 인쇄까지를 ... ...
대보름의 불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곳으로 번지지 못하게 하기 위해 둘레가 2.7킬로
미터
나 되는 산 정상 주변을 돌아가며 20
미터
폭의 억새들을 모두 베어냈답니다. 그리고 불을 놓기전에 억새밭에 있던 사람들을 모두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바깥쪽에서부터 불을 붙였지요. 화왕산의 정상에는 억새 이외의 동·식물이 거의 살지 않아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이용해 광섬유를 값싸고 균일하게 제작하는 공정에 연구 초점을 맞췄다.이때 100~300나노
미터
수준의 에어노즐 입자를 이용하는 광섬유 제조 공정 연구를 수행하다가 ‘입자 크기를 줄여보면 어떨까’하는 의문을 가졌다. 지금 연구하고 있는 나노 입자 제어기술도 그때부터 관심을 갖게 됐다. 그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만들기 위해서는 반지름 4m의 쇳덩이로된몸통을 90°회전하는데 2분간 10μm(마이크로
미터
, 1μm=100만분의1m)이내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또 천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망원경 몸통을 0.1μm의 정밀도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같은 대형기계의 초정밀 구동기술은 산업기술로 파급되는 효과도 매우 클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분사되는 세포(액체상태)의 크기가 정해졌다는 것. 지금까지 가장 작은 크기는 20마이크로
미터
(μm)였다.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0만V의 고전압을 걸고 그 속으로 세포를 통과시켰다. 세포는 전기장을 지나면서 수μm의 방울로 분사됐다. 높은 전압을 걸었지만 세포는 파괴되지 않았다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해양연구소는 1997년에 빅터6000을 개발했답니다. 일본 해양연구센터는 1997년에 1만 1000
미터
를 잠수해 탐사할 수 있는 가이코를 개발했어요. 해미래는 이렇게 미국과 프랑스, 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우리나라가 개발했답니다. 로봇물고기의 개발은 최근에 이루어졌어요. 1995년 미국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