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움직이면 전기가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중 하나는 불빛이 켜지지 않을 거예요. LED는 (+)극과 (-)극이 구분되어 있어서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거든요. 설명서와 똑같이 연결했다면 앞으로 돌렸을 때만 불이 켜진답니다. ... ...
- [과학뉴스] 두 발 로봇 '캐시', 전동 슈즈를 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사람도 호버 슈즈를 타기 위해선 오랜 시간 연습해야 해요. 호버 슈즈는 몸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움직이는데, 처음에는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넘어지기 일쑤거든요. 연구팀은 캐시가 호버 슈즈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속도와 기울임을 감지하는 센서 여러 개를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볼까요? 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6개의 AND 노드를만들었어요. AND 노드 각각은 골대의 세 방향으로 골이 들어가거나 골을 막았을 때 출력하는 소리 노드로 이어져요. 골이 들어가면 ‘레’ 음이, 골을 막으면 ‘파’ 음이 나도록 만들어져 있죠.두 조이콘에서 AND 노드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을 ... ...
-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2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고분자 사슬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사슬이 바닷물과 이온 농도가 같은 0.7M(몰) 소금물에서 하이드로겔(친수성 고분자 네트워크)을 형성하며 접착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물질은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최후의 방법으로 걷거나 뛰어야 합니다. 넘어지는 방향으로 빠르게 걸어가서 넘어지는 위치보다 발이 앞서면 넘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이렇게 네 가지 방법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며 살아갑니다. 반고리관 모방한 ‘IMU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놓을 자리가 없으면 게임이 끝납니다. 언뜻 보면 테트리스보다 쉬운 것 같지만, 블록의 방향을 바꿀 수 없고 격자의 크기가 테트리스보다 작기 때문에 가로세로 3칸으로 이뤄진 3×3 블록이 등장하면 빈 자리가 없어 게임 오버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꽉 찬 가로줄 또는 세로줄을 ... ...
-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결과와 유럽우주국(ESA)이 운용 중인 가이아 위성의 분석자료를 통해 S5-HVS1의 이동 속도와 방향을 계산했다.이를 통해 S5-HVS1의 이동 경로를 역추적한 결과, Sgr A* 근처에서 이동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쌍성계를 이루던 S5-HVS1은 480만 년 전 Sgr A*에 가까워졌다. 이후 S5-HVS1과 쌍성계를 이루던 ..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나일강은 한 번도 물줄기의 방향이 크게 휘어진 적이 없다. 이는 과학자들이 풀지 못한 ‘나일강 미스터리’였다.클라우디오 파세나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질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북아프리카 대륙판에서 맨틀이 나일강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데 성공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원숭이 실험에서 신경세포 활성 여부에 따라 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성공한 건 처음이었습니다. 이후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팔뿐만 아니라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때의 부끄러움은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낯설지만 새로운 방향, 어렵지만 옳은 방향 하지만 처음부터 학생들이 선생님의 수업 방식을 반겼던 것은 아니었어요. 초등학교 때 배웠던 방식과 너무 다르고, 일부 선행 학습을 한 친구들은 “왜 이렇게 해야 하냐”며 항의를 하기도 했죠. 그때마다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