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나일강은 한 번도 물줄기의
방향
이 크게 휘어진 적이 없다. 이는 과학자들이 풀지 못한 ‘나일강 미스터리’였다.클라우디오 파세나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질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북아프리카 대륙판에서 맨틀이 나일강의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얼려버리면 팽창됐던 가스가 수축하면서 역
방향
인 안쪽으로 급격하게 움직이게 된다.
방향
과 규모만 다를 뿐, 이 역시 일종의 핵폭풍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물리학적으로 본다면 아이스맨이 핵폭탄을 막아낸다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재밌자고 ...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예를 들어 공장의 생산라인에서 불량품이 발생하는 수를 시간에 따라 정리하면 변화하는
방향
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걸 수식으로 바꾸면 얼마 뒤에 불량품 발생량이 최소화되는지 예측할 수 있죠. 평균은 증권회사와 야구에서 꼭 필요한 개념이에요. 증권회사에서 투자를 결정하는 담당자들은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때의 부끄러움은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낯설지만 새로운
방향
, 어렵지만 옳은
방향
하지만 처음부터 학생들이 선생님의 수업 방식을 반겼던 것은 아니었어요. 초등학교 때 배웠던 방식과 너무 다르고, 일부 선행 학습을 한 친구들은 “왜 이렇게 해야 하냐”며 항의를 하기도 했죠. 그때마다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일렉트로딕스(Electrodics)와 아이오닉스(Ionics) 등 크게 두
방향
에서 연구된다. 일렉트로딕스는 전해질과 활물질이 접한 면에서 나타나는 전하의 이동 현상을 연구한다. 아이오닉스는 전해질 내부 이온의 구조와 운동 변화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겔고분자 전해질이 액체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뤄진다. 수백 개에 이르는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대부분도 전후, 좌우, 상하 여섯
방향
에서 촬영하고 측정해 제작한 도면이 있었다. 이를 이용하면 컴퓨터그래픽(CG) 기술로 골격의 3차원(3D)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터였다. 진짜 데이노케이루스의 모습 그대로 말이다. 2018년 말부터 복원을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조만간 인간의 췌장을 가진 쥐가 돼지의 뱃속에서 태어날지도 모르겠다. 7월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나카우치 히로미쓰 일본 도쿄대 교수팀이 사람 ... 의료 발전을 위해서는 임상은 허가하되 임상에서 나타나는 위험 요소를 엄격히 규제하는
방향
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겁니다. 그 결과 성장
방향
이 통발 안에 있는 분비샘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
과 비슷했습니다.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0월호에 실렸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게 바로 소리의 장점이랍니다. 눈으로는 앞에 있는 것들만 볼 수 있지만, 귀로는 모든
방향
에서 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죠. 소리는 빛에 비해서 장애물을 돌아나가는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에요. 덕분에 새들은 나무가 울창한 숲속에서도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요. 뿐만 아니라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있었다. 산소 결핍 조절 유전자 통제해 암 발생 조절 이에 대한 해답은 전혀 다른
방향
에서 나왔다. 이를 주도한 윌리엄 케일린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유전질환 중 하나인 폰히펠-린다우 증후군(VHL)을 연구하는 의학자였다. 이 질환은 VHL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VHL 단백질의 기능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