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뉴스
"
학습
"(으)로 총 2,94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고대 비문 복원하는 인공지능
동아사이언스
l
2022.03.12
아니라 라틴어, 심지어 메소포타미아문명에서 사용했던 설형문자까지 해독하도록
학습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현미경과 망원경이 탄생한 이래 과학자들이 할 수 있는 연구 범위가 급격히 넓어진 것처럼, 이타카가 고대 인류 문명을 연구하는 범위를 확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처 ... ...
인간 감각기관 정보처리 방식 흉내낸 소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6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와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의 폐의 엑스레이 이미지를
학습
시켰다. 그 결과 86.5% 정확도로 코로나19 환자와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의 폐를 구분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영상 진단은 센서를 통해 진단 부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AI 시스템으로 ... ...
"연구 많이 하는 병원일수록 환자 치료 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2
줄 수 있는 지적 자극 과정”이라며 “이러한 활동이 비판적 사고와 호기심, 끊임없는
학습
등으로 특징되는 지적 환경을 조성하고 이 환경이 연구가 치료를 개선하는 원리 중 일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개인기초연구사업 2482개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라는 이름으로 제공한다. 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코로나19)으로 집에서
학습
하는 시간이 늘어난 점을 감안해 ‘학년별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강화
학습
이용한 자유구조 메타표면 설계 제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빛의 성질을 만드는 나노광학 소자다. 연구팀은 구조의 구성요소를 하나씩 뒤집는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해 메타 표면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도 최적 구조를 발견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포토닉스’ 2월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전기 자극받은 '효모' 온몸으로 표현한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댄스유어피에이치디 올해 최우수상 수상자 댄스 영상 캡처. 연구자들이 바게뜨 빵을 들고 번개를 맞으며 춤을 추고 있다. AAAS 제공. ‘네가 날 볼 수 없어도(Even ... 자그레브대 연구원의 ‘현대 교육의 교훈적·방법론적 패러다임으로서의 능동적
학습
’을 주제로 한 춤 영상이 수상했다. ... ...
정재승 KAIST 교수팀, 생각만으로 정확히 로봇팔 조종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3
‘축적 컴퓨팅 기법’을 이용해 개개인 뇌파 신호 중요 특성을 인공신경망이 자동으로
학습
해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문제의 정답을 유추한 다음 점차 진화시켜 답에 가깝게 만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인공지능 신경망이 최적 뇌파 특성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심부 뇌파를 ... ...
LG, 구글·우리은행 등과 손잡고 글로벌 초거대 AI생태계 만든다
연합뉴스
l
2022.02.22
빠르면서도 정확도는 4배 가까이 높다. 이를 활용해 엑사원에 금융 분야 언어들만 추가로
학습
시키면 AI 은행원과 같이 특화된 전문가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배 원장은 "(이번 연합체 발족은) 엑사원과 파트너사들이 함께 성장하며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해 나가는 글로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장수명 리튬 금속 배터리를 위한 액체 첨가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2
초기 단계인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서 약물과 표적 단백질이 결합하는 부분을 사전
학습
한 후 예측하도록 해 신뢰도가 높은 예측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이다 ... ...
'사람과' 오랑우탄도 석기문화 출현 전제 조건 충족
연합뉴스
l
2022.02.17
독일 튀빙겐대학 연구진은 동물원의 오랑우탄(Pongo pygmaeus)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학습
없이도 저절로 돌을 두들기고 날카로운 돌을 사용할 줄 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 PLOS에 따르면 연구진은 우선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