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4,2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05
따라 구하는지를 알지 못하면 답을 구할 수 없다. 성능이 뛰어난 전자계산기라 해도 원리
자체
를 알려주지 않으므로 전자계산기는 쓸모가 없다.결국 전자계산기만 있으면 간단히 풀 수 있는 문제는 도움이 안 되고, 전자계산기를 써야 하는 문제는 지금보다 더 복잡하거나 개념과 원리가 더 ... ...
언어의 고향은 아프리카?
과학동아
l
201105
확인 됐다. 앳킨슨 교수는 “이는 아프리카에서 다른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들이 계속
자체
적으로 말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아프리카로부터 먼 거리를 이동해 정착한 인류일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든다는 생물학 용어인 ‘창시자 효과’가 언어에도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05
개제됐다.가축이 만든 사람가축화된 동물들은 점차 다른 지역으로 확산됐다. 가축
자체
가 전파되기도 했지만 사람들은 가축화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만 도입해 그 지역의 토착종을 새로 가축으로 만들기도 했다. 인더스 강 유역에 살던 사람들은 중동에서 야생소를 길들이는 방법을 본 떠 그 지역의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05
University of Aberdeen/Wellcome Images음악의 기본, 리듬을 느껴 보자!생물을 찍은 이미지는 그
자체
로 세밀한 반복 무늬가 된다. 사진은 마다가스카르 나방의 날개 비늘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 이 나방은 날개가 20cm, 꼬리가 15cm로 길게 뻗어 ‘혜성나방’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날개 비늘은 ... ...
왜 1+1=2인가?
수학동아
l
201105
너무나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어‘자연수는 이러이러한 수다’라고 말하는 것
자체
가 오히려 어색하죠. 그래도 수학은 논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자연수에 대해서 정해놓은 것이 있어요.1800년대 말에 이탈리아의 수학자 주세페 페아노는 자연수에 대해 약속하자고 했습니다. 그중 몇 ... ...
알 품은 익룡 화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별명도 붙었답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저의 발견에 무척 기뻐했지요.화석이 발견된 것
자체
가 놀라운 일이긴 하지만…, 그렇게 기뻐할 일인가요?그럼요! 그 동안 발견된 익룡 화석으로는 익룡의 암수를 전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많은 혼란이 있었어요. 생김새는 조금 다르지만 같은 종인 암수를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04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물론 이런 기술적인 대책에도 불구하고 원전
자체
의 안전에 여전히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이번 사고가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대형 재해에 인간의 기술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 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전 기술 덕분에 인류가 누리고 있는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04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➊ 최근 갑상샘, 유방암, 자궁근종의 발병률이 높아진 것은 발병
자체
가 늘어났다기보다 진단 기술이 발달하고 일반 검진 문화가 정착하면서 병을 조기에 발견해 생긴 영향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➋초경이 빨라지면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해 유방암,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04
어차피 먹지도 않을 걸 사냥하느라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셈이다. 어쩌면 사냥
자체
를 즐기는 것인지도 모른다.오늘날 인류가 이룩한 문명은 문자의 발명에서 비롯됐다. 기록을 통해 정보가 축적됐을 뿐 아니라 문자로 쓰인 기록을 읽는 과정(독서)을 통해 ‘반성적(reflective)’ 사고를 키웠고 이를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04
움직임을 나타내는 볼츠만 방정식도 수학자들의 관심사지요. 수학자들은 볼츠만 방정식
자체
를 증명하는 데 힘을 쏟습니다. 2010국제수학자대회에서 프랑스의 세드리크 빌라니 에콜 노말 리옹대 교수는 볼츠만 방정식의 일부를 증명해 ‘수학계의 노벨상’ 인 필즈상을 받았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