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07
학생들에게 전달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큰 안목을 갖고 자신의
전공
분야를 바라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최근에도 논문을 계속 쓰신다고 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십니까?”“수학의 철학을 완결하다보니 한 2년 동안 공부를 안했어요. 그러다가 요 2달 사이에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07
있을 때 학생이었던 A 아인슈타인은 그의 강의에 실망, 수학을 단념하고 이론물리학을
전공
했다고 한다뒷날 민코프스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공간의 좌표 x, y, z와 시간 t를 좌표로 하는 4차원 공간에서 로렌츠 변환으로 불변의 성질을 연구하는 기하학으로 볼 수 있음을 밝혔다1857~1940 ... ...
거품의 과학이 빚어낸 마술 버블쇼
과학동아
l
200306
내한공연이 펼쳐졌다.팬 양은 어린 시절부터 비누방울과 무지개의 아름다움에 심취했다.
전공
이었던 무용가의 길을 접고 비누방울에 담겨있는 과학적 원리를 20여년 동안 탐구했다. 이렇게 탄생한 팬 양의 버블쇼는 198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선을 보였고 그후 세계 각지에서 계속되고 있다.단순한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애스트로-F의 과학임무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다. 주로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천문학
전공
교수들이 주축이 돼 참여하고 있다. 애스트로-F로는 아주 먼 은하뿐 아니라 적외선을 방출하는 흥미로운 대상을 관측할 수 있다. 여러 근접은하를 관측해 적외선 영역의 성질에 따라 은하들을 분류할 수 있고,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06
전전했습니다. 40살에 교수직을 얻은 성균관대에서는 처음 소속이 낙농학과였어요. 내
전공
인 과학사가 소속이 어디냐를 두고 자연과학에서는 인문학이다, 인문학에서는 자연과학이다 해서 서로 제기를 차듯 미뤄버려서 공중에 붕 뜬 겁니다.”송 교수가 20년 가까이 몸담은 한림대에서는 사학과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06
953년 4월 생물학을
전공
한 왓슨과 물리학을
전공
한 크릭의 절묘한 만남으로 DNA 이중나선구조에 관한 논문이 발표됐다. 그리고 50년이 지난 2003년 4월 14일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는 인간게놈 염기서열을 99.99% 해독했다고 발표했다. 인간의 DNA가 담고 있는 31억2천만개 염기서열의 유전자 정보지도가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05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갔다.원래 새를 좋아했던 왓슨은 동물학을
전공
했지만, 대학시절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생물학 연구에 몰두했다. 왓슨과 함께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힌 공로로 노벨상을 받은 크릭 역시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05
워퍼코네터 태생 1955년 퍼듀 대학을 졸업한 후 남캘리포니아 대학 대학원에서 항공학을
전공
했다제트 전투기 조종사로서 625전쟁에 종군했고, 그 후 각종 항공기의 시험비행을 한 후 NASA의 우주비행사로 선발되었다 요(尿)속의 당(糖)을 정성적(定性的)으로 조사하는 방법 요단백질(尿蛋白質)이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04
가질 않았어요. 그래서 대학 3학년 때 철학을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죠. 3-4학년 때는 부
전공
수준으로 철학 수업을 들었어요.”동양학문은 이보다 한참 후에 관심을 갖게 됐다. 자신이 동양인이면서 서양학자만 알았지 몇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동양의 학자는 모른다는 것을 느끼고서였다. 그리고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4
대해서는 잘못된 이해가 벌어지기가 쉽다. 우선은 그 내용이 너무 전문적이어서
전공
자가 아니면 제대로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는 은연중에 한국인 과학기술자의 위대성을 보이려 세계적 성취로 내세울 만한 것들을 무리해서라도 찾아내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원철별’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