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역"(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프로젝트] ‘색’ 다른 축구공과 혼잡한 직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7호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화학자 빌헬름 오스왈드가 1894년 독일어의 Molekul에서 ‘Mol’을 따서 만든 것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오늘날 ‘아보가드로 상수’는 190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페랭이 최초로 실험을 통해 계산해냈다. 페랭은 미세한 입자의 브라운 운동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이것이 볼츠만의 기체운동 이론(PV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안 될까?DNA가 갖는 염기는 A, G, T, C로 총 4가지이다. 그리고 DNA가 가진 정보를 통해서 번역 돼야 하는 아미노산은 20가지다. 이때, 염기 1개가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어떻게 될까? 4가지 아미노산에 대한 정보밖에 갖지 못할 것이다. 만약 염기 2개의 조합이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총 16개의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난 2월 24일, 노원구에 위치한 서울시립과학관에서 ‘지구를 위한 과학’정기강좌 5강이 열렸어요. 이번 주제는 약 6500만 년 전 멸종해 우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공룡’이에요. 과학자들은 현재 화석만 남아 있는 공룡의 모습을 어떻게 알아내는 걸까요? 강연장에서 직접 그 답을 찾아보세 ... ...
-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삐릭, 삐릭’안녕, 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빛낸 군집드론 ‘슈팅스타’야. 지금 뭐하는 거냐고? 나와 친구들이 힘을 합쳐서 아주 멋진 작품을 만들고 있지! 우리가 이렇게 여럿이 일을 하는 비결이 뭐냐 하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엔 하트를 만들어 볼까? 모여야 빛이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힘든 농사일도 우리가 도와 줄게!농업 역시 군집로봇이 활약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예요. 경작, 모내기, 수확 등 시기별로 작업이 정확히 이뤄져야 하고,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기 때문이지요. 유럽의 개방형 로봇 개발기구인 ‘이코드++(ECHORD++)’는 농업 분야를 위한 다양한 군집로봇 프로젝트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기하학 원론’이라는 평면 기하 교과서를 쓴 지 1700여 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미해결인 평면 기하 문제가 많습니다. 이번 호에 소개할 문제 역시 그중 하나입니다. 1950년 대학에 갓 입학한 새내기가 만든 문제로, 최근 영국의 생물학자인 아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P-적합수와 솔로몬의 직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