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기 좋은 통계가 이해하기도 쉽다! 제22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수와 어떤 지역의 확진자 수가 가장 많은지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지도에는
위치
정보도 담겨 있어 확산 경로를 파악하기에도 좋죠. 만약 전체 확진자 중에서 특정 지역에 사는 사람의 비율을 알고 싶다면 원그래프, 확진자 증가 추이를 보고 싶다면 꺾은선 그래프 등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따른 빛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쥐의 장에 포도당을 주입했을 때 뇌간에
위치
한 고립핵의 꼬리쪽(cNST)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세설팜포타슘을 주입했을 때에는 cNST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고립핵은 체내 장기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영역이다. 연구팀은 추가 ... ...
코로나19 백신 & 치료제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돌아다니는 중에도 기자에게 눈길 한 번 돌리지 않았다. 4월 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
한 생명공학기업 제넥신 유전자생산기술연구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그야말로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코로나 19 백신 & 치료제 Part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최초 관측이다. EHT는 전 세계에 흩어진 8개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처녀자리에
위치
한 거대 타원은하 M87에서 블랙홀의 모습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했다.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전파망원경의 분해능이 가장 뛰어나 블랙홀도 관측할 수 있던 ... ...
[퍼즐라이프] 채우는 재미가 쏠쏠! 카지노 퍼즐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단위 블록 3개는 상자의 대각선에 놓인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③). 단위 블록의
위치
가 고정됐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 나머지 칩은 쉽게 채울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분석해보니 의외로 쉽죠? 어떤 구조로 채우는지 알아냈으니 어떤 순서와 방향으로 채워야 할지도 생각해보세요!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왕의 이름을 딴 케페우스자리 왼쪽으로는 그의 아내 이름을 딴 카시오페이아자리가
위치
한다. 케페우스자리에 있는 거대 오징어 형상을 띠는 푸른색의 행성상 성운(Ou4)과 주변의 붉은 성운(Sh2-129)의 모습을 선명하게 포착했다. 작가가 천체사진가인 신정욱 씨와 공동으로 강원 화천군에서 2019년 8~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이름을 제안했다. 대상작인 ‘나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산실인 나로우주센터가
위치
한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의 지역명에서 따왔다. 되돌아보면 나로호의 이름이 될 뻔한 두 번째로 멋진 이름들도 있었다. 태양을 뜻하는 ‘해’와 용의 옛 말인 ‘미르’의 합성어인 ‘해미르’, 대한민국의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말했다. 지역별로 학급당 학생 수에 격차가 크다는 의견도 있었다. 2015년 서울 성북구에
위치
한 일반고에서 물리교사로 교직을 시작한 B 씨는 “당시 부임한 학교는 총 8개 학급에 학급당 학생 수는 27명이었다”며 “서울 강남구에 부임한 동료 교사는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 이상이라며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시속 15km 이하로 부드럽게 조우 그런데 태양계 끝자락인 카이퍼 벨트(Kuiper belt)*에
위치
한 소행성 아로코스의 생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핵 강착 이론과 정반대라는 결과가 나왔다. 인류가 아로코스를 직접 관측한 건 2019년 1월 1일이었다. 이날 NASA의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는 아로코스로부터 35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공방 앞에는 붕어빵 가게가 문을 열었습니다. 손님은 긱블러들. 긴장된 마음으로 스
위치
버튼을 누르자 노즐이 X-Y 플로터 레일을 따라 착착 움직이고, 반죽과 앙금이 슉슉~ 나왔습니다. 그러나 아직 숙달되지 않은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는 여전히 부끄러운 듯 붕어빵이 아닌, 반죽 가득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