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일하게 분석된 중국인의 유전체와 비교한 결과 500만 개 정도에서 유전자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양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유전자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필자가 속한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는 2014년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영장류로 진화하면서 알파 갈락토스를 만드는 효소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이런 차이 때문에 돼지에서 사람으로 장기를 이식할 땐 면역 거부 반응이 생겨요. 사람의 몸에 알파 갈락토스가 붙은 세포가 들어오면 우리 몸은 이를 침입자로 생각해 면역 체계를 매우 활발하게 만들거든요. 그러면 ...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한계가 있는 동시에, 연구의 반복성이 떨어지고,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성장 정도에서 차이가 미미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연구 결과가 아니라는 의견들도 있습니다. HT042의 효능이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수행돼야 한다는 뜻입니다. 또 HT042를 함유한 제품을 연구팀의 실험처럼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및 특허등록을 마쳤다. 우리흑돈은 LYD 종과 비교해 체중, 새끼 수, 지방 두께 등에서 차이가 없다. 근내지방(마블링)과 전단력(씹는 식감에 관여)도 듀록 종보다도 오히려 더 우수해 고소하고 부드럽다. 박 연구관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재래돼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생산성을 크게 향상 ...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터치했을 때 전달된 소리를 스마트폰에 녹음하고, 주파수별로 소리가 도달하는 시간 차이와 거리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이 값을 이용해 터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10초 이내의 간단한 조정만으로 사물을 터치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바이오중유로 발전하는 3호기의 수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었다. 수치로 보니 차이가 확실히 컸다. 중유 발전기가 149ppm의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반면, 바이오중유 발전기의 수치는 0을 가리키고 있었다. 한국석유관리원이 2015년 발표한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 및 성능 평가 특성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끝이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대학 입학은 또 다른 시작이자 기회입니다. 이 차이가 굉장히 크더라고요. 특히 공학은 세계를 대상으로 경쟁을 벌여야 합니다. 미래의 핵심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국, 중국보다 더 잘해야 하는 것이죠. 그러려면 인류의 미래에 기여하겠다는 큰 꿈을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자로 축소-교사추천서 폐지 학생부 기재 및 관리에 있어서는 학교 선생님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논란이 있어왔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학생부 기재 가능 분량은 현행 4,000자에서 2,200자로 축소하고, 대상자별 맞춤 연수를 제공하기로 했다. 학생부에 기재 ... ...
- 어서와! 고등학교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학교와는 달리 말 그대로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시간입니다. 학교에 따라 시행의 차이가 있으며 주로 오후 6시 정도에 시작하여 오후 10시까지 진행됩니다. 야간자율학습은 부족한 과목을 보충할 수 있고 오늘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거나 인강을 듣기에도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에, 주어진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동물의 눈으로 보는 풍경을 재현했지요. 분석 결과 시력은 동물에 따라 만 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눈이 큰 동물일수록, 곤충보다는 포유류나 조류가 시력이 좋았지요. 가장 시력이 좋은 동물은 독수리였고, 모기처럼 겹눈을 지닌 작은 곤충은 아주 가까이 있는 물체를 겨우 볼 수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