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드론을 조종해 같은 경로를 비행시킨 뒤 기록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자율비행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어요. 10초 정도 빠른 수준이었지요. 물론 반복 비행으로 조종사가 경로에 익숙해지자 더 빨라졌지만, 앞으로 자율비행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것만큼 정확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관측하는 별의 밝기는 약 2.5배씩 밝아지지요. 하지만 겉보기등급은 실제 별의 밝기와는 차이가 있어요. 별이 아무리 밝아도 눈에 보이는 밝기는 지구와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죠. 이에 모든 별이 일정한 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별의 밝기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측정하지요. 케플러는 지난 9년 동안 태양 궤도를 돌며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외계 행성을 2662개나 확인했어요.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약 70%를 찾아내며 ‘행성 사냥꾼’이란 ... ...
- [헷갈린 과학] 표범이야, 고양이야? 마게이 VS 오셀롯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그런데 둘 다 몸에 표범 무늬가 있어서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둘의 차이점을 알려 주세요~. -우창익(Changik_woo) 마게이는 오셀롯과 함께 ‘호랑고양이속’에 속하는 동물로, 남미 지역의 울창한 우림 지역에서 서식해요. 다 자란 마게이는 몸길이 50~70cm, 몸무게 4kg 정도랍니다. ... ...
- 여성 과학자가 되려면, 산 넘어 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보다는 개인에 따른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차이는 중요하지 않다는 거지요.여성은 근대 과학이 만들어지던 시점인 16~17세기부터 과학계에서 밀려나기 시작했어요. 남성 과학자들은 여성이 권위 있는 과학자의 모습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를 시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혼합물이 섞여 있어 따로 분류하는 정제 과정이 필요하지요. 정제는 각 성분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요. 우선 원유를 350℃ 이상으로 가열해 기체로 바꾼 다음, 서서히 온도를 내려 끓는점이 350℃인 중유를 가장 먼저 액체로 걸러내요. 계속 온도를 낮추면서 경유, 등유, 휘발유 순으로 분류하지요. 각 ... ...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완벽했어요. Q 앞으로 하고 싶은 연구가 있나요?배 지금 하고 있는 참매미와 민민매미의 차이를 알아내는 연구를 잘 마무리 짓고 싶어요. 그 뒤에는 생태학을 연구하는 대학원 연구실을 알아보려 해요. 대학원에 진학해 앞으로도 계속 생물 연구를 이어 나가고 싶어요. 허 제주도 한라산의 매미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알아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사회성이나 언어 능력 등 구체적인 뇌 발달 차이를 비교해 어떤 점이 인류의 운명을 결정했는지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스토리 “휴~, 하마터면 알갱이 폭탄을 그대로 맞을 뻔했어.”“그나저나 미션을 해결했는데도 두 번째 아이템이 다시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유전자도 연구해요. 예를 들어, 동해와 서해의 전어는 서로 같은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꽤 차이가 있다는 걸 발견했답니다.물고기, 너의 이름은?! - 김경화사람들이 바닷물고기의 정확한 이름을 알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지사탐에 함께하게 됐어요. 흔히 ‘우럭’이라 불리는 물고기의 이름은 ... ...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다르다”며, “이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동물과 당시 사람들이 표현한 동물의 모습에 차이가 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어요.이어 “유물들의 모양을 보면 처음엔 알아볼 수 있는 동물의 형태로 만들다가 점점 추상적인 모양으로 변하는 걸 볼 수 있다”며 “대부분의 유물들은 무언가를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