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산소 일부가 대장에 도달해 생존환경이 나빠졌다는 해석이 있다. 반면 비만
억제
와 관련해 잘 알려져 있는 로제부리아(Roseburia)라는 박테리아는 극적으로 늘어나 있었다. ‘네이처’ 5월 8일자에는 쥐를 대상으로 위소매절제술을 했을 때 위장의 생리 변화를 규명한 논문이 실렸다. 즉 수술을 받은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
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체분자를 만들어내 숙주의 생리반응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항생제는 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돌아갔다. 제3의 조명 시대를 연 청색LED는 그러나 일주리듬 교란과 멜라토닌 합성
억제
등 인류의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크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LED의 등장으로 세계 보건에 ‘적색등’이 켜졌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사과추출물을 더할 경우 어떤 미생물은 더 잘 자라게 하고 어떤 미생물은 생장을
억제
하는데 그 결과가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아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늘어났다.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분화연구는 차원이 달랐는데, 단순히 신경세포, 내장세포로 분화하는 수준이 아니라
억제
뉴런, 시신경 등 고도로 분화한 세포로 분화하게 유도했을 뿐 아니라 조직과 심지어 신체기관을 만드는 연구까지 지평을 넓혔다. 특히 2011년에는 믿을 수 없는 연구결과를 연거푸 발표해 센세이션을 ... ...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각성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기면증을 유발한다. 반대로 γ-아미노부티르산(GABA)는
억제
신호를 전달하여 신경 활동을 둔화시킴으로써 깊은 잠에 빠지게 한다. 이들 신경전달물질들은 대표적인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보다 훨씬 많은 물질들이 신경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
화석연료의 변신,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동아사이언스
l
2014.08.25
석탄에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최근 석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억제
하는 방안의 하나로 낡은 석탄발전소를 폐지하고 대규모로 석탄을 가스화해서 깨끗하게 전환하는 석탄화학, SNG 및 석탄액화공장의 건설을 장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포스코가 연간 50만 톤의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결합된 물질로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
한다.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레틴A는 1973년 미국 펜실베니아대 클리그만 박사가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개발했다가 환자들의 얼굴에서 피부 탄력과 주름이 개선되는 뜻밖의 효능을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어떻게 뇌전증 발작을 줄이는지는 아직 정확히 모르지만 뇌전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필자가 다소 장황하게 ‘네이처’의 뇌전증 특집을 소개한 건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을 뿐 아니라 수천 년에 걸친 편견으로 일반인 뿐 아니라 의사조차도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홍 교수 연구진은 변형된 활성부위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해 돌연변이 키나아제의 작용을
억제
할 수 있는 활성 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설계하고 도출했다. 이 연구성과는 2013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발표됐다. 홍 교수는 "간단한 출발 물질로부터 효과적이고 선택적인 촉매시스템을 이용해 탄소-수소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