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깊은 풍미를 잃고 대신 글루텐민감성을 얻게 된 건 아닐까. 다음은 20세기 초 ‘사기
억제
를 위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gress for the Suppression of Fraud)’가 소집한 전문가 집단이 제시한 빵의 법적 정의다. 이에 따르면 오늘날 우리가 먹고 있는 대부분의 빵은 빵이 아니다! “어떤 수식어도 붙지 ... ...
단식의 과학
2014.06.16
학술지 ‘셀 줄기세포’ 5일자에는 단식이 조혈모세포(줄기세포)의 재생력을 높이고
억제
된 면역계를 다시 활성화한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단식은 종교나 정치(저항의 수단)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필자는 ‘단식의 과학’이 있다는 게 의아스러워 논문을 다운받아 좀 읽어봤다(권위 ... ...
운동을 많이 해도 문제? 근육이 녹는 횡문근융해증
KISTI
l
2014.05.21
예다. 우리 몸은 섭씨 42도 정도 되는 고온에 오래 노출되면 에너지를 얻는 대사 과정이
억제
되고 근육 세포의 막을 이루는 지질이 녹기 시작한다.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인 셈이다. 따라서 고온에서 운동하는 것은 되도록 피하되 한다면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필요하다. 운동을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이타적 행동과 패닉이 마음속에서 경쟁 관계에 있어 이타적 행동이 활성화되면 패닉이
억제
된다. 리더가 어리석거나 무모할 경우, 오히려 큰 재앙을 불러올 수 있는 치명적인 상황도 생긴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리석은 리더와 영웅형의 훌륭한 리더의 차이는 위기의 순간에서 더욱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
KISTI
l
2014.04.10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SVP(Short Vegetative Phase)단백질과 결합해, 개화 촉진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
해 개화를 늦춘다는 것이다. 겨울 내내 앙상하게 가지만 남아 있던 나무들이 사실 꾸준히 주변을 살피고 수많은 물질들을 만들며 개화를 준비했을 것을 생각하면 새삼 생명 활동의 섬세함에 감탄하게 된다. ... ...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KISTI
l
2014.03.31
힘을 떨어뜨려 장운동을 약하게 하는 게 주원인이지만 임신 중 먹는 철분제도 장운동을
억제
한다. 또 폐경기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먹는 칼슘제도 변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 피부 트러블은 숙변의 독 때문이다? 장에 문제가 생기면 뾰루지가 난다 고대 이집트인들도 같은 오해를 했다. 기원전 1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겨울잠 회로가 남아있다고 발표했어요. 단지 겨울잠을 시작하는 단계의 유전자 발현만
억제
된 상태라고 말이야. 이건 다시 말해서,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물질을 대량으로 주입하면 방아쇠가 빵 당겨지듯이 겨울잠에 들 수 있다는 얘기야. 또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도메니코 투폰 교수는 쥐에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삼투압의 작용으로 물도 딸려 들어오는 것. 그런데 카페인은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억제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물의 재흡수도 막게 되고 따라서 오줌의 양이 많아지면서 체액은 줄어들게 된다는 것. 실제로 커피를 안 먹던 사람이 커피를 마시거나 평소보다 과도하게 마실 경우 일시적으로 탈수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된 리노바이러스 치료제 후보물질 가운데 어느 하나도 증식을
억제
하지 못했다는 것. 참고로 감기바이러스 치료제에 대한 연구는 나름대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러 유형에 다 작용하는 범용 치료제를 개발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 범위에서 효과가 있는 약물도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이에 의문을 갖는다. 그는 ‘연역적 추리’를 통해 곰팡이가 박테리아의 생장을
억제
하는 물질을 분비한다고 결론내리고 이를 분리해 페니실린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발견된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고, 매독, 결핵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도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