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창기 지구는 보라색?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미생물 유전학자인 쉴 다사르마 교수가 “초창기 지구는 보라색”이라는 연구결과를
미국
천문학협의회에서 발표했다고 보도했다.지구가 ‘초록별’이라는 별명을 갖게 된 데는 광합성을 담당하는 엽록소의 역할이 크다. 엽록소는 가시광선 가운데 파란색과 빨간색을 흡수하고 녹색은 반사한다. ... ...
'달콤한' 배터리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설탕으로 움직이는 배터리가 나왔다. UPI통신 등 외신들은 물에 녹인 설탕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배터리를
미국
세인트루이스대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지난 3월 26일 보 ... 민간에 확산되면 휴대전화 배터리 등이 대체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는 지난 3월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표됐다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섞은 도금액(아말감)을 칠해 가열하면 수은은 날아가고 금만 남아 도금되는 기술1941년
미국
에서 처음 제정됐다 대상 인구의 대부분(975%)이 주요 영양소를 결핍되지 않을 정도로 섭취해야 하는 양이다 방송, 신문, 책에서 '이만큼은 먹어야 한다'고 말하면 그것이 영양권장량이다아프리카 기원설1'은 ... ...
10만원짜리 노트북 나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저렴한 노트북을 나눠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이 사업은
미국
MIT 미디어연구소장인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가 이끄는 OLPC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다. 현재 150달러까지 가격을 낮추는데 성공했다. OLPC 재단은 브라질, 나이지리아, 르완다, 태국 등의 정부와 제휴해 오는 ... ...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있는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의사이자 과학자인 김점동 여사도 그러하다.
미국
볼티모어 여자 의과대학에 가장 어린 나이로 입학한 그는 어려운 학업을 마치고 바로 귀국해 10달간 3000여명을 돌볼 정도로 정열적으로 의술활동을 펼쳤다. 과로 탓에 폐결핵에 걸려 34살에 생을 마감했지만, ... ...
가슴 속에 부는 토네이도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복잡계 이론으로 뇌까지 정복할 터이경진 교수가 토네이도 연구에 뛰어든 계기는 1995년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후연구원 시절 진행했던 ‘아메바 군집 연구’다. 일정한 규모의 아메바 군집은 상호 작용하며 슬러그(slug)라는 다세포 생물체를 형성한다. 이 교수가 연구하는 심실세동도 박동원이 ... ...
오빠, 사랑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외국어 실력도 쑥쑥! 난 원래 영어를 싫어했어. 그러다가‘뉴 키즈 온 더 블록’이라는
미국
그룹을 좋아하게 되면서 노래를 알아듣기 위해 영어를 열심히 공부하다 보니까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 영어가 됐지 뭐야. 그러다 보니 외국어가 좋아져 지금은 일본에서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단다.연예인이 ... ...
백내장이 명작 낳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런 시력장애가 그들의 화풍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마이클 마모르 교수는 “백내장에 걸린 눈으로 바라본 세상을 컴퓨터에 재현하자 드가와 모네의 화풍과 비슷한 그림이 나타났다”고 온라인 뉴스사이트 ‘사이언스데일리’ 4월 13일자에 ... ...
야광구름 생성의 범인은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야광구름’ 생성의 비밀을 캐기 위해 4월 25일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다. 약 80km 상공에 떠 있는 야광구름은 해뜨기 전이나 해가 지고난 뒤에만 볼 수 있어 과학자들에겐 수수께끼로 여겨져 왔다. 특히 은빛이나 푸른빛을 띠고 있어 보는 이에게 신비한 느낌마저 준다.1885년 ... ...
쥐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아자이 브야스 박사팀은 기생충에 감염된 쥐가 고양이를 겁내지 않는 이유를 밝혀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4월 2일자에 발표했다.쥐는 고양이의 소변 냄새를 맡으면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간다. 이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가 천적인 고양이를 피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행동이다. ... ...
이전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