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 ...
메시에와 메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혜성은 보이지 않았다. 혜성이 이미 자리를 옮긴 탓이었다. 예상하는 위치 주변을
망원경
으로 탐색하면서 혜성처럼 보이는 물체를 찾기 시작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메시에의 눈에 하얀색의 흐릿한 촛불 모양의 빛덩이가 보였다. 그것은 황소자리의 2등급별인 제타성 부근에 있었다. 혜성이라고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모두 다르므로 관측대상의 거리에 따라 알맞은 접안경을 선택하여 관측한다천체
망원경
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각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기린 육분의자리를 포함시켰다.놀랍도록 정밀한 눈을 지녔던 최후의 맨눈 관측자로서
망원경
과 정밀도 대결을 벌였던 헤벨리우스의 자취는 밤하늘 곳곳에 뚜렷하게 남아있다.육분의, 사분의 : 하늘에서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해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있다 또한 식물 · 미생물계에도 존재한다 뉴튼이 오목반사거울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사
망원경
의 한 형식 경사진 평면의 부경(副鏡)을 설치하여 초점을 경통(鏡筒)의 측면으로 도입하는 방식이다 방정식 f(x)=0의 해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의 운동에 관한 뉴튼의 기본적 법칙 제1법칙 ... ...
충돌 은하에서 암흑물질의 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가스구름 분포를 분석해 은하의 질량 중심을 구했다. 그러나 질량 중심은 허블 우주
망원경
이 이 은하의 운동을 관찰한 뒤 얻어낸 질량 중심과 일치하지 않았다. 두 은하가 스쳐지나갈 때 전하를 가지고 있는 가스구름은 상호작용하며 그 자리에 남았지만, 전하가 없는 암흑 물질은 그대로 통과해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알려지자 논란이 일어났고 2005년에 발견된 2003UB313이 명왕성보다 크다는 사실이 허블우주
망원경
관측에 의해 밝혀지면서 논란은 절정에 이르렀다.결국 피할 수 없는 질문이 터져 나왔다. 명왕성이 행성이라면 이들 천체 역시 행성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논란에 앞장선 사람이 바로 2003UB313을 ... ...
인류는 왜 다시 달로 가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충돌하며 18개월의 탐사를 마감했다. 이 충돌로 생긴 섬광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의
망원경
(CFHT)이 관측했다. 스마트1은 달의 광물분포도를 작성했을 뿐 아니라 최신형 이온엔진을 시험했던 무인 탐사선이다.앞으로 달 탐사선이 줄을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유럽, 러시아뿐 아니라 일본, 중국,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
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한다약효를 검정할 때 쓰는 방법의 하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치료용 약과 플라시보(가짜약)의 구분을 알리지 않고 제3자인 판정자에게만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정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했다. 이 관측에 사용된
망원경
은 초점길이가 무려 7.4m인 굴절
망원경
이었다. 별의 시차 현상에 따르면 천정에 있는 감마별의 좌표는 분명히 1년 동안 남북으로 크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측됐다. 하지만 두 사람이 관측한 별의 움직임은 예상과 달랐다. 이상하게도 그 움직임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