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칼리스토가 있다궤도면은 모두 목성의 적도면과 대략 일치하며 궤도는 원에 가깝다작은
망원경
이나 쌍안경으로도 목성의 적도면상에 1직선으로 늘어선 4개의 갈릴레이 위성을 볼 수 있다갈릴레이는 목성을 도는 이들 위성을 발견, 계속적으로 관측하여 지동설(地動說)을 믿기에 이르렀다금속과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정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했다. 이 관측에 사용된
망원경
은 초점길이가 무려 7.4m인 굴절
망원경
이었다. 별의 시차 현상에 따르면 천정에 있는 감마별의 좌표는 분명히 1년 동안 남북으로 크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측됐다. 하지만 두 사람이 관측한 별의 움직임은 예상과 달랐다. 이상하게도 그 움직임은 ... ...
혜성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월 중순의 밤하늘에는 작은 혜성, 슈바스만-바흐만 혜성이 하나 나타납니다. 하지만 천체
망원경
없이는 볼 수 없을 정도로 흐려서 시민천문대 같은 곳에 가야만 합니다. 예상 밝기는 시골 밤하늘에서 겨우 보이는 별 밝기에 해당 되는 6등급입니다. 이 혜성의 핵이 여러 개로 갈라져서 특이한 모습을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
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한다약효를 검정할 때 쓰는 방법의 하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치료용 약과 플라시보(가짜약)의 구분을 알리지 않고 제3자인 판정자에게만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호스에 가까이 다가가서 봐야 한다. 만일 성능이 충분히 좋은
망원경
이 있으면 호스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도 호스의 표면이 2차원이란 사실뿐 아니라 호스 표면의 울퉁불퉁한 정도라든지 표면을 기어가는 벌레도 관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초끈 이론에 등장하는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는 시력 때문에 관측보다 계산과 이론으로 명성을 얻었다. 반면 도즈는 근시임에도
망원경
을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각지름 : 천체의 겉보기지름을 각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항성의 각지름은 아무리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날려버리고 백색왜성으로 수축할 때 방출한 가스의 껍질로 이루어진 성운 이것을
망원경
으로 관찰하면 원반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행성상 성운이라 불린다 대개 1광년 이하의 지름을 갖고 있으며 매우 희미하게 보인다 행성상 성운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존재하는데, 평균 수십만년의 수명을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자문을 구했다. 물론 다른 어느 누구에게도 말하면 안 되는 극비 사항이었다.보현산
망원경
을 도안에 넣은 까닭은 찬란했던 과학기술 전통을 오늘에 이어받자는 의미다.천상열차분야지도가 사회를 안정시키고 국민의 힘을 하나의 정점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 것처럼, 혼천시계가 전쟁으로 인해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작은 크레이터가 있다. 이중성 : 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
망원경
같은 광학기기로 보면 두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한다 ... ...
토성관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행사의 주인공은 단연 토성이 되겠습니다. 토성의 고리를 천체
망원경
으로 관측하면 두 개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토성 고리 사이에 틈이 보인다는 뜻입니다. 이 틈은 17세기 이탈리아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해 ‘카시니의 틈 ’이라고도 합니다. 지난해에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