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5. 타미플루 정신이상 일으키나지난 10월 30일 타미플루를 복용한 중학생이 아파트 6
층
에서 투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이에 타미플루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타미플루를 복용한 사람들에게서 가장 빈번히 나타난 이상반응은 투여한 지 이틀째에 많이 발생하는 구역질과 구토 증상이다.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더 우울하게 만들 것을 우려해 콘크리트에 백색안료를 섞어 밝게 만들었다. 건물이 17
층
이다 보니 균일한 색과 점도로 콘크리트를 17번 타설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었다. 콘크리트 공급 시간과 날씨, 교통 상황 등 모든 현장 요소가 콘크리트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작업 현장은 전시 작전을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4
층
까지는 연구원과 선원의 침실(1~4인실), 회의실, 세미나실, 휴게실로 꾸며져 있다. 6
층
에는 아라온 호의 컨트롤 타워에 해당하는 조타실이 위치하고 있다. 조타실에 들어서자 마치 방송실처럼 전기 장비가 가득했다.그런데 놀랍게도 아라온 호의 조타실에는 배의 상징인 원형의 조타장치가 없었다. ... ...
초고
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08
층
), 부산IBC빌딩(126
층
) 등 초고
층
빌딩이 대거 들어설 예정이다. 2016년에는 국내에 100
층
이 넘는 건물이 8개나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의 마천루는 어디까지 올라갈까. 그곳까지 우리를 안내해줄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어떤 모습일까 기대된다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깊숙한 곳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 찬바람이 생기는 곳이나 바람이 지나다니는 통로에 고
층
건물이나 빽빽한 아파트 단지를 짓지 않는 것은 기본! 풍동실험으로 미리 보는 바람길도시에 바람길을 내기 위해 수많은 건물을 허물고 새로 짓는 일은 사실상 어렵다. 그래서 바람길은 도시를 계획할 때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어때. 자기의 키와 비교하면 한
층
의 높이를 대략 알 수 있어. 그런 다음 아파트가 총 몇
층
인지 세어 보는 거야. 그럼 아파트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아파트 옆에 자라는 나무의 높이도 같이 구할 수 있겠지.양념 3 수학 역사 탐험 꼭 문제를 풀어야 수학을 공부하는 거라 생각할 필요는 없어. 수학의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무게는 철골 구조만 1200t이 넘는다고 귀띔해 줬다. 물속에 잠겨 있는 부분을 빼도 아파트 5
층
높이다.‘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 있는 발전소 내부로 들어갔다. ‘쏴’하는 물소리가 쩌렁쩌렁 울려 바로 옆 사람 목소리도 잘 들리지 않는다. 발아래에 조류가 소용돌이치는 모습이 훤히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NASA는 밝혔다. 이전까지는 표면에서 40~50m 아래 지점의
층
이 가스 방출의 진원지로 추측됐다. 과학계에선 당시 실험에는 지구로 돌진하는 혜성을 막을 방법을 찾으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분석한다. 템펠1 혜성에 부딪친 충돌체는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는 턱없이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국립역사박물관을 찾았다. 역사박물관이지만 현관에는 커다란 운석이 있고 2
층
에는 공룡화석이 있어서 마치 자연사박물관을 방불케 했다.다윈이 방문했을 때는 박물관이 아니라 성크리스토프 왕궁이었고, 1889년까지 왕실의 저택으로 쓰였다. 다윈은 이 왕궁이 “멀리서 보기만 해도 외관이 굉장히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다시 우주와 지표면으로 토해낸다. 이 때문에 지표면은 더 더워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
층
대기는 오히려 열을 더 빼앗기고 만다. 이산화탄소는 중간권에서‘냉실가스’인 셈이다.그런데 야광운은 왜 따뜻한 여름철에 생겨나는 걸까. 지표면이 더 더워지는 여름에 중간권은 가장 추운 겨울을 맞기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