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로도 스마트 시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터빈을 돌리는 장치다. 따라서 원자로에서는 늘 많은
열
이 나오며 안전하게 핵분
열
반응을 유지하려면 원자로를 충분히 식혀주어야 한다. 보통은 원자로를 식히고 나온 뜨거운 물을 방류하지만 스마트원자로는 이를 이용하여 바닷물에서 민물을 만들어낸다. 냉각수로 바닷물을 사용하고, 이 물이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실린 국내 연구자들의 조사결과가 인용돼 있는데 좀 충격적이다. 즉 요도하
열
을 보이는 신생아의 혈중 비스페놀A 농도를 조사한 결과 그렇지 않은 신생아의 수치보다 평균 7배나 높게 나왔다는 것. 아무튼 이런 상황이다 보니 각국에서는 비스페놀A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먼저 유아제품에서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모두 고려해야 했기 때문이다. 원안위는 두 차례 회의를 연기한 끝에 2월 27일 새벽에
열
린 최종회의에서 표결을 통해 월성1호기 연장가동을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은 오는 4월을 목표로 월성1호기의 재가동을 추진 중이며, 재가동은 보완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주민의견을 수렴해 진행될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노심은 원자로의 핵심 부분, 핵분
열
반응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따라서 큰
열
이 발생하며 적절히 식혀주지 않으면 온도가 계속 올라가 노심이 용융하는 ‘멜트다운’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원자로 압력용기 및 압력관 내 연료손상이 발생하기 전과 후, 그리고 압력용기 및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도달해 백색지방세포를 갈색지방세포와 같은 성격으로 바꿔 지방을 태우게 한다고(
열
생성) 알려졌다. 당시 연구를 발표한 미국 하버드대 브루스 스피겔먼 교수는 언론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고 그 자신 공동투자자로 참여한 바이오벤처 엠버테라퓨틱스를 만들기도 했다. 몸이 이리신을 많이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친화력이 클 경우 표면에 놓이는 분자들은 반쪽이 다른 물질 또는 공기에 노출되므로
열
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런 물질은 표면적이 가장 작은 상태로 존재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표면장력이 큰 물과 표면장력이 작은 기름을 섞으면 결국은 두 층으로 분리되는데(보통 기름이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내린다. 즉 사생활과 연구를 구분하기로 한 것. 1998년 라이프치히에서 연구소가 문을
열
때 마크와 린다 모두 연구원으로 와 있었다. 패보는 스토네킹 가족과 한 집에서 살며 린다와 애정을 키웠고 마크는 새로운 연인을 만났다. 2005년 패보와 린다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났다. 그 뒤 마크와 린다는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점심이나 저녁을 먹은 직후보다 더 왕성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즉
열
생성 정도도 일주리듬을 따른다는 말이다. 또 지방세포가 혈중포도당을 흡수해 지방으로 만든 뒤 저장하는 작업을 저녁에 더 왕성하게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저녁이나 야식은 지방으로 몸에 쌓일 가능성이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유지하지만 중력으로 인해 플레이트가 무게를 가해 경사면을 미끄러지면 압력과 마찰
열
이 발생해 결국 녹아내려 마찰력이 줄어든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스키 플레이트의 속도가 높아지거나 기온이 심하게 낮아지면 눈을 녹일 만한 시간적 여유가 줄어든다. 이때는 플레이트 밑면에 왁스를 발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미쳤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 네이처 제공 대형 포식자가 생태계 균형의
열
쇠를 쥐고 있다는 관점을 ‘하향식연쇄효과(top-down trophic cascade)’라고 부른다. 한마디로 포식자가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해야 식물의 씨가 마르지 않는다는 것. 2001년 학술지 ‘생물보존’에 실린 미국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