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12
체험빌리지’를 조성해서 신재생기술 전시‧체험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태양
열
목욕탕’을 설치하고 인근 5‧18 민주묘지와 연계한 ‘인권생태 탐방로’도 조성할 예정이다. 여기에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주택을 마을 단위로 구성하는 ‘그린빌리지’도 50가구를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생각해봐야 한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신체적 고통 실험으로 피험자의 손목에
열
자극을 줘 통증을 느끼게 했고 정신적 고통은 자신을 차버리고 떠난 옛 애인 사진을 보게 했다. 설문결과 피험자들은 예상대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그 수준은 비슷했다. 이것만 보면 뇌가 정말 신체적인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온도가 함께 내려가기 때문에 빨래가 오히려 잘 마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문을
열
어놓자기 도로 습기가 들어와 곤란하다. 제습기는 습기는 제거하면서 뜨거운 바람을 불어주기 때문에 빨래가 더 쉽게 마른다. 세탁기 안에 있는 빨래 건조 기능도 같은 원리다. ... ...
온타케산 분화로 본 화산 예측의 어려움
KISTI
l
2014.12.01
활화산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백두산도 이들 국제협력 화산 예측 연구의 대
열
에 합류했다. 지금보다 정확한 화산 신호를 예측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림 2. 백두산 천지 아래 있는 마그마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단면도 글‧그림 :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걷는 정도의 활동만으로도 꽤 많은 칼로리가 들어가는데, 레바인은 이를 ‘비운동성활동
열
생성(nonexercise activity thermogenesis)’, 줄여서 니트(NEAT)라고 명명했다. 앉아있는 시간이 길수록 니트가 줄어든다고. 레바인 교수는 “오랫동안 앉아 있는 게 나쁜 이유는 우리 몸이 게으른 자세에 맞게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96년 앙리 베크렐이 우라늄에서
열
을 낸다는 사실을, 그로부터 7년 후 마리 퀴리가 라듐이
열
을 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톰슨의 지구 나이 계산에 오류가 있음이 드러났다. 톰슨은 추후에 자신의 계산이 틀렸다는 것을 인식했음에도 결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실수를 인정할 수 ... ...
[채널A] 뜨거운 기름에 물, 직접 실험해 보니…‘화염방사기’ 변신
채널A
l
2014.11.19
솟구치면서 화염방사기처럼 높게 불이 커지면서 화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은 가
열
하면 수증기가 돼 부피가 최고 2000배까지 커지기 때문에 아주 적은 물이라도 끓는 기름과 만나면 큰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실제 숯불 화로를 이용할 때는 기름에 재와 같은 불순물이 들어있기 때문에 ... ...
나눔연수 [제10회]
동아사이언스
l
2014.11.11
만든 사회 공헌 성격의 연수 프로그램이다. 앞으로 매달 1회씩 다양한 주제로 나눔연수가
열
리고 있다. 참가를 원하는 교사는 ‘과학동아 교사아카데미 나눔연수 페이지’(scimall.co.kr/tacademy)에서 신청하면 된다. ... ...
[채널A] “행복합니다” 히딩크, 10개월 만에 무릎 완치
채널A
l
2014.11.06
관절염 치료를 받은 뒤 휠체어를 타고 귀국했던 거스 히딩크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열
달이 지난 오늘 만난 그는 테니스 경기를 막 마친 운동복 차림이었습니다. 통증이 심해 걷는 것조차 힘들었다는 히딩크 감독의 삶은 180도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 거스 히딩크 /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이젠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1천 400), 영국(1천), 독일(950) 순이다. 모두가 한국의 저력을 뽐내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열
정과 가능성만 보아도 우리나라는 이미 과학기술 선진국이다. 미래 인재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지속적으로 늘린다면 앞으로 세계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을 주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