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모양으로 배열해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제는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으로까지 쓰니 왜
안
그렇겠는가. 또 그의 미소 뒤에는 그의 연구가 현실화된다는 기쁨의 의미도 숨어있다. 탄소나노튜브 반도체가 2010년경이 돼야 그 실체를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데 반해 FED는 최근 삼성종합기술원 김종민박사팀에 ... ...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성냥 머리는 폭발하듯이 한꺼번에 불이 붙는다. 알루미늄이 열전도율이 높아 열을 쉽게
안
쪽으로 전달해 성냥 머리 전체의 온도를 고르게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규모의 폭발이 일어나고 타면서 발생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헐거운 쪽의 성냥이 튀어나가는 것이다.은보다 비쌌던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텔레비전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화면이 찌그러지는 이유다. 텔레비전 브라운관
안
에는 전자빔을 내는‘전자총’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 자석을 가져가면 전자빔이 힘을 받고 휘게 된다. 이때 자석의 역할은 전자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킬 뿐 속도를 변화시키지는 않는다.이 문제는 고등학교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런 작업을 하는 기본소자인 마이크로 밸브와 펌프를 개발했다. 밸브와 펌프는 칩
안
에서 액체를 이동시키고 섞어주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들은 이전에도 DNA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T자형 마이크로 튜브와, 세포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미니 세포분류기 등을 개발한 바 있다.과학자들은 머지않아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위액과는 성분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소화시켜야 할 음식물이 위
안
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산성의 위액이 분비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편 음식물이 소화되는 순서를 확인하기 위해 음식물을 실로 매단 후 위 내부에 넣어 두고 시간경과에 따라 꺼내 관찰했다. 또 소화액을 위 밖으로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만테냐는‘신혼의 방’벽화 작업을 10년 만에 완성한다. 그는 천장 복판에 컴퍼스와 눈금자로 그리는 선형 원근법을 이용해 동심원을 그리고 우물 구멍처럼 뚫 ... 붓의 기적을 부려서 현실과 환영 사이의 경계를 말끔히 허물었다. 수학과 기하학의 우물
안
에다 또 하나의 자연을 창조했다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따르던 차량은 교통 흐름이
안
좋아진 상태를 거의 경험하지 않게 되지만, 교통 흐름이
안
좋은 상태로의 전환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그 지역을 지나는 운전자는 많은 시간 느리게 달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해결점은 없을까. 교통 체증을 줄이는 가장 생각하기 쉬운 방법은 도로를 많이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룸’, 피부의 건조도에 따라 반응하기도 하는 ‘스마트 옷’, 요리상태와 냉장고
안
에 든 재료의 상태 등을 자동으로 체크해주는 ‘스마트 키친’ 등의 프로젝트에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친근하고 밀접한 장소에서 생기는 인터페이스를 생활의 복잡성 만큼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다.이러한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한다. 그런 지점장에게 당시 정사장은 10분 이상 할 말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동
안
자금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한 결과 지금은 거래은행의 지점장이 일부러 자리를 마련할 정도로 기업의 자금흐름, 경제 동향 등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자랑한다.최근 신문지상에서는 올해부터 바이오벤처들의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없어지지만, 위 상부에 암이 많이 생기는 부작용도 있다는 설명이다. 김교수는 “대
안
으로 균을 완전히 죽이지는 않고, 농도를 떨어뜨려야 한다”면서, “그 수준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작년 12월 영국의 BBC방송은 헬리코박터균이 설사병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 ...
이전
950
951
952
953
954
955
956
957
9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