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암흑에너지를 선정했다.그뒤 암흑에너지는 베일을 한꺼풀씩 벗고 있다. 2004년 2월
미국
우주망원경연구소 아담 리스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42개의 초신성을 관측한 결과 암흑에너지가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우주상수는 1917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으로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다른 신경세포들과 제대로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생명, 그 영원한 난제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장윤영 교수는 “성체줄기세포의 경우 현재 임상시험 중인 뇌혈관질환이나 척수손상 치료에 상용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당뇨와 간질환도 줄기세포치료법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에 들어있는 꼬리고리(Tail loop)가 증식을 일으키는 핵심이라는 사실이다. 논문을 발표한
미국
라이스대 타오 이지 교수는 “꼬리고리는 대부분 A형 독감 바이러스에 들어있어 이를 표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만들면 효과적”이라고 밝혔다.핵산단백질은 작은 고리가 쌓여 원기둥 모양을 한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Tbx3 유전자가 많으면 배 쪽 가깝게 팔다리가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개에 대한 연구도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박찬규 교수팀은 개의 뒷발에 1~2개 정도 생겨나는 덧발톱이 16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LMBR1 유전자와 관련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잘 있었니? 내가 천문학자가 돼 돌아왔다’고 외쳤다.무게만 3000톤짜리가 움직이면?
미국
령 푸에르토리코의 지름 300m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이어 세계 두번째 크기를 자랑하는 이 망원경은 당시나 지금이나 독일 과학기술의 상징적 존재다. 전망대에서 보던 그 망원경의 모습이란 천문학에 이미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었고, 그 인연으로 생태공학은 강 교수의 평생 ‘업’이 됐다. 미취 교수는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로 있으면서 ‘생태공학’이라는 학술지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요즘 강 교수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는 또 있다. 글쓰기다. 지난해 4월 서울대 글쓰기교실에서 과학 글쓰기에 대해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감각신경이 발달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돼 성장도 촉진된다”고 말한다.1992년에 세워진
미국
마이애미의대 접촉연구소는 신체접촉이 인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저체중으로 태어난 미숙아들에게 부드러운 손길로 마사지를 해주자 체중이 40% 이상 증가했고, 마사지를 받지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인디언 유적의 그림에서 황소자리 초신성으로 추정되는 별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애리조나주 화이트메사에서 발견된 인디언 유적에는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초승달과 함께 그려진 밝은 별 그림이 여러 장 있다.컴퓨터 계산에 따르면 초신성이 출현했던 1054년 7월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자르거나 구멍을 뚫는 수술도 가능하다.아토초로 질주하는 ‘남의 법칙’나올까1999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아흐메드 즈웨일 교수는 펨토초 레이저로 분자의 화학 반응에서 일어나는 초고속 현상을 밝힌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펨토초의 짧은 빛을 이용해 화학반응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제럴드 에덜먼의학박사이며 신경과학연구소와 신경과학연구재단을 이끌고 있다. 현재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2년 항체의 분자구조가 Y자 모양이라는 사실을 발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의 연구를 토대로 몸속에 항원이 침입했을 때 항체가 어떻게 ... ...
이전
952
953
954
955
956
957
958
959
9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