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
과학동아
l
199504
박사과정을 밟고 있었던 여름에 그 분의 연구실에서 조수로 일한 적이 있었다.
대학원
에 갓들어간 처지라 별로 아는 것도 없기에 내가 맡은 업무라고는 타운스 박사가 만든 메이저(Microwave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 MASER는 레이저의 전신에 해당)장치를 깨끗이 닦고 진공에 결 ...
화학- 성냥불 없이 촛불켜기
과학동아
l
199503
양초에 불을 켜기 위해서는 성냥이나 라이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성냥이나 라이터 없이 저절로 양초에 불이 켜지게 하는 방법이 여기 있습니다.어느새 한낮의 햇볕이 따스한 봄날이 됐습니다. 차가운 겨울의 긴장이 풀림과 동시에 우리의 눈꺼풀도 풀리기 쉬운 계절이군요. 이럴 때는 마술사의 ... ...
개미와 균류, 신비의 공생관계
과학동아
l
199502
요인이라는 주장은 타당하다"고 사이언스지에 실린 두 논문 모두의 저자인 코넬대학
대학원
생 테드 R. 슐츠는 말했다.원산지가 신열대구인 식물의 대부분은 이에 대해 충분한 방어능력을 갖추도록 진화하여 개미의 불가항력적인 공격에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그러나 캘리포니아나 아프리카 ... ...
컴퓨서브 전문포럼 5백여개 누구나 정보교환 손쉽게
과학동아
l
199501
를 볼 수 있다. 10번 주제는 온라인상에서 수강하고 리포트를 제출해 학위를 수여받는
대학원
과정이다. 즉 미래의 대학(Virtual University)이라고 할 수 있다. 온라인 상에 강의물이 게시되고 학생들은 E메일로 리포트를 보낸다.데이터베이스와는 달리 이러한 포럼이 가지는 가장 큰 매력은 특정 정보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01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토마스 핸슨이란 학자는 샬로츠빌의 버지니아대학
대학원
생이던 1992년에 행크 아론이나 로드 캐루와 같은 위대한 야구선수들에 대해 연구했다. 여기서 그는 역대 최고의 타자들은 어떤 공이 날아올 것인가를 알려주는 암시를 포착하기 위해 상대투수의 필름을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11
펄사의 발견으로 197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휴이시의 경우 그의 공동연구자인
대학원
생 버넬양 덕분에 수상할 수 있었다고 하여 영국에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노벨상 후보지명에 작용하는 정치성이나 인맥도 심각한 문제다. 80년대 10년간 노벨상위원회의 화학분과위원장을 맡았던 보 ... ...
전남대(자동차 분야)
과학동아
l
199410
대한 서류 특차전형을 실시하고 자동차 관련 산업체에 근무하는 기술자에 대해서는
대학원
과정을 서류전형으로만 선발, 고급 산업인력을 지역사회에 공급할 계획이다.또한 자동차분야 학과의 교수인원을 현재의 30명에서 81명으로 확충하면서 산학협동교수로 98년까지 객원교수 50명 석좌교수 6명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
과학동아
l
199410
한다면 현재로서는 한국통신에서 제공하는 코네트를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물론
대학원
생이나 연구원 등 연구망(KREONet) 가입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연구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관으로 가입하려 한다면 코네트나 연구망에 문의하면 된다.5. 인터네트를 사용하려면 어떤 장비가 있어야 하는가 ... ...
경북대(전기·전자 분야)
과학동아
l
199410
규모에서 쉽게 엿볼 수 있다. 교수 49명, 조교 및 사무원 22명, 학부생 2천7백여 명,
대학원
생 5백여 명으로 운용되고 있는 게 전자공학과 1개 학과의 현황. 이 규모는 경북대 13개 단과대학중 법대 경상대 사회과학대 생활과학대 치대 수의대 예술대 등 7개 단과대학보다 월등히 크다.지난 68년 첫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설계하고 설계한 대로 합성해낸다', 이 얼마나 짜릿하고 흥분되는 일인가.필자가
대학원
에서 단백질 공부를 시작한 것은 DNA의 이중나선구조 모델이 발표된 1953년 무렵이었다. 그 뒤 단백질을 합성하는 일을 시작한 것은 1967년 일본 규슈대학 이즈미야 노부오 교수를 만난 덕분이었지만, 그 꿈이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