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 유리잔 속 마술 단풍 놀이
과학동아
l
199409
가을은 단풍으로 우리 가슴을 설레게 합니다. 마냥 어디론가 떠나고 싶기도 하고 은행잎이나 단풍잎을 따서 편지에 담아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친구에게 띄우고 싶게도 합니다. 단풍이 우리를 설레게 하는 건 그 색깔 때문이겠죠? 이러한 가을 단풍 색깔을 우리 책방 앞에서 즐기는 건 어떨까요? ... ...
폐기물처리연구 16년 - '쓰레기 박사' 별명
과학동아
l
199409
응용화학(지금의 유기공업화학)까지를 마스터하면서 노벨화학상의 꿈도 꾸었다. 그 뒤
대학원
시절 지도교수이신 홍윤명교수(명예교수)께서 문하생들에게 "한 우물만을 더 깊이 팔수록 맛있는 생명수가 솟아나는 법이다"라고 말씀하시던 것을 나의 과학연구의 좌우명으로 삼고 오늘에 이르렀다.195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09
선출됐다. 초창기의 멤버들을 보면 박순백(한글과 컴퓨터 이사) 이기성(동국대 정보산업
대학원
교수) 장석원(ABC시스템 대표) 이호식(한국컴퓨터 기술부장) 한규면(마이크로네트 실장) 염진섭(삼창제지 이사) 유경희(전 산업표준원장) 안상수(홍익대 교수) 탁연상(마이크로북 대표) 박성현(영진출판사 ... ...
북한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408
등 각 분야에 국가 정책에 부응하는 연구개발, 즉 연구소 본연의 사명 이외에도 우리의
대학원
교육에 해당하는 고급 연구 인력 양성 책임을 지고 있다.학사(우리의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은 남한의 제도와 달리 선택된 대학과 연구소의 양 기관에 설치돼 있으며 학위 소지자는 대학 및 연구소에 전임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08
밀러의 실험오파린의 가설은 1953년에 미국 시카고 대학의 유리(Urey, H.C.)와 그의 제자인
대학원
학생 밀러(Miller, S.P.)의 공동 연구 결과 일부가 검증되었다.(가) (그림3)과 같은 장치를 만들어 플라스크 안의 공기를 뺀다. 수소 메탄 암모니아를 넣고 밀폐한 다음, 물을 끓이면서 1주일 동안 6만 볼트의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06
0여명이며 그중 약 10여명의 한국인 물리학자들이 미국 각 대학 또는 연구소에 소속되어
대학원
생 또는 연구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 글의 필자인 김동희교수는 CDF 그룹의 멤버이다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01
1. 지상 800㎞ 서 본 한반 도우리별 2호의 지표면촬영카메라는 2백m를 한점으로 인식한다. 비록 성능은 과학위성인 스폿의 카메라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이를 운용하는 기술은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있다.요즘은 사방에서 환경관측위성 자원탐사위성 기상위성 등 위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이 자주 들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12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 지난 7월 국내에서 개최된 국제퍼지학회에 참석한 한
대학원
생의 푸념처럼 퍼지이론의 제자리찾기 운동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할 수 있다.'응용의 천재' '모방의 천재'라고 불리는 일본에게 퍼지이론을 응용하는데는 상당히 뒤졌지만 카오스에서는 그 격차를 어느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12
기다렸다. 페어뱅크팀에는 한국인 백호정 박사(현 메릴랜드 대학에서 중력파 연구 중)가
대학원
생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 모든 노력에도 중력파는 여전히 '인간의 애절한 짝사랑'을 외면했다.기존 방법으로 힘들다고 판단한 천체물리 학자들은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중력파 검출에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12
존재 가능성만을 확인한 중력파. 중력파의 실체는 무엇일까.1974년 MIT의 조세프 테일러와
대학원
생 러셀 헐스는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에 설치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을 통해 쌍둥이 펄사 PSR 1913+16을 발견했다. 이 쌍성펄사는 매초 16.9회전(자전)하면서 초속 3백㎞로 8시간마다 한번씩 돈다(공전).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