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심각한 부작용 없이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도 상당히 좋아졌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그동안 강박장애를 수술로 치료하기 위한 시도가 많았지만 외과적 수술이기 때문에 위험요소가 있었다”며 “DBS는 조직손상 없이 치료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수술 없이 머리에 전류를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식을 나누는 기쁨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또
김
단장은 “이 행사가 더 유익하고 보람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과학기술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진로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김
변호사는 과학기술인과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에게 직무발명 지식이 왜 필요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직무발명은 기본적으로 과학기술 종업원의 권리를 높여 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
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개나리와 벚꽃이 만개한 4월 14일 서울 충정로 동아사이언스에서 대한화학회
김
낙중 회장(한양대 화학과 교수, 세계 화학의 해 조직위원장)과 한국화학연구원 ...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
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08년에는 직접 중국으로 건너가 광저우 지역의 에어로졸의 화학 조성과 특성을 연구했다.
김
교수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황사에 묻어 올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대기 관측 연구는 대기·물리·화학뿐만 아니라 생물을 전공한 학생도 필요로 한다”며 “탄탄한 기초 과학 실력을 갖춘 학생이라면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찾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컴퓨터다.
김
재완 교수는 “과거 초전도체를 이용해 슈퍼 컴퓨터의 소비 전력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최근 초전도 연구자들은 양자 컴퓨터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자 컴퓨터는 중첩 과 같은 양자역학적 현상을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업패널과 전시물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같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꾸며둔 셈이다.
김
한겸 단장은 “차별화된 과학교구를 이용한 체험식 교육을 제공했기 때문에 쿠소의 과학나눔이 호평받을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해외 봉사를 강화하려면 기존의 봉사와 차별화된, 다양한 과학교육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정부가 이런 제도를 갖춘 것은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김
은지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사무총장은 “이번 재판부의 판결을 보면서 우리 재판부가 미국 수준에 이르려면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KT&G는 계속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국민에게 첨가제 정보를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하드디스크를 디지털포렌식으로 분석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 영상분석실의
김
일현 공업연구사를 증인으로 요청합니다.
김
연구사가 증인석에 앉아 증인선서를 했다. 검사 A회사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설계도를 복사한 기록이 남아 있나요?연구사 예, 남아 있습니다. 윈도우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낯선 전화번호를 기억해 내 전화를 거는 과정을 ‘작업기억’이라고 부른다.고려대
김
상일 교수는 “작업기억의 용량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데 소위 머리가 좋다는 사람들이 용량이 크다고 볼 수 있다”며 “그럼에도 본질적으로 멀티태스킹을 능숙하게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그러나 설사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