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빨리 개발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
김
진유 군이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깊이 공부해 온 것 같다”며 “미래 기술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독일 칼스루에 공대에서 전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보장해 주는 교수인데, 종신교수가 되기 위한 심사는 매우 엄격하고 철저하다.
김
교수는 한국인 여성으로는 처음 MIT 종신교수로 임용됐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힐베르트의 23개 난제’중 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이유죠.사회자: 저도 한번 먹어보고 싶군요. 곰팡이 얘기가 나온
김
에 저희 개미의 농사법을 들려 드릴까요? [➊ 흰개미 집의 내부 구조. 군데군데 곰팡이를 키우는 방이 보인다.]➋ 흰개미가 곰팡이가 만들어낸 자실체(흰 덩어리)를 수확하고 있다.] 항생제 박테리아 뿌리는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디지털 자료 속에는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
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인터넷 속의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아직 꿈 같은 얘기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
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이용해 기존의 검출기보다 감도가 좋다”고 레노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광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 ...
올 여름엔
김
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빚어 놓은 것 같은 생
김
새 때문에 정말 맛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그런데 직접 먹어 보니
김
밥과 비슷한 맛과 쫄깃함에 빠져버렸다.‘굳지 않는 현미 떡’도 탄생했다. 쌀겨와 씨눈을 벗겨낸 멥쌀과 달리 현미는 왕겨만 벗겨내 영양가가 높다. 지금까지는 현미로 만든 떡이 거칠어 선호도가 낮았다. 한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번 시즌 1600만 명이 신종플루백신을 접종했기 때문에 크게 번질 가능성은 낮다. 다만
김
교수는 “병원을 찾는 신종플루 환자 대다수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이라며 “다만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80% 수준이기 때문에 백신을 맞았어도 신종플루에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신라가 막판 대역전극을 펼쳐 삼국을 통일하며 끝난다. 하지만 당나라의 소정방이
김
유신과 맺은 밀약보다 더 많은 영토를 요구하면서 당나라와 신라는 나중에 전쟁에 돌입한다.전문가들은 윷놀이가 재미있는 수학적인 이유를 단순하면서도 승부를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가 많다는 점을 꼽는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난 말이야, 미래엔 양반, 상놈 그런 거 없었으면 좋겠구나. 내 자식들은 나처럼 업신여
김
받지 않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어.”그러자 여기저기서 비슷한 말이 흘러나왔다.“난 굶주림 없는 세상이었음 좋겠어. 가난이 지긋지긋하거든.”“그런 세상이 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런 세상이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다.19개의 전파망원경이 수신하는 신호를 통합 처리하는 센터는 대전에 들어선다.
김
그룹장은 “한반도가 지리적으로 중심에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성능의 상관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19개 전파망원경이 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관기는 일본과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