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벌들을 설득하거든요. 정찰벌이 후보지를 설명하는 방법은 ‘8자 춤’이에요. 8자 춤은 숫자 8의 모양을 그리며 추는 춤으로, 후보지의 방향과 거리를 무리에게 알려 줄 수 있어요. 후보지가 좋을수록 8자 춤을 여러 번 반복하지요. 예를 들어 훌륭한 후보지를 찾은 정찰벌은 8자 춤을 90번 돌고, 평범한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에니악은 전쟁 이후에도 수소폭탄 설계, 날씨 예측, 우주선 연구, 열 폭발 감지, 임의 숫자 연구, 풍동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다. 에니악은 당시 수학자들이 7~20시간 걸렸던 문제를 30초 만에 풀어냈다. 에니악은 당시에 있었던 그 어떤 컴퓨터보다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계산할 수 있었다.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있답니다. 사람의 망막에는 450만 개의 원추세포와 9000만 개의 간상세포가 있어요. 숫자로 보면 간상세포가 많지만, 사람이 활동할 때 필요한 시력은 대부분 원추세포가 제공한답니다.낮과 밤의 선택, 눈에 따라 다르다올빼미는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가 발달해 밤에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바꾸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수의 다양한 성질이 쓰인다. 간단한 예로, 보호하고자 하는 숫자를 특정 값으로 나눈 나머지를 저장하는 방법이있다. 보호하고자 하는 수가 125라면, 이를 100으로 나눈 나머지 25로 변환해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되는 값을 ‘해시’라고 한다.실제로는 100처럼 단순한 수가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선장은 예전의 모험가는 목숨을 걸고 항해를 했다며 운을 뗐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바다에서는 배의 위치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풍랑을 만나 방향을 잃는 일도 많았고, 같은 지역을 빙빙 돌기도 쉬웠다. 1707년, 영국의 서쪽 해안에 있는 ‘실리 제도’에서는 전함 4척이 암초와 부딪혀 1600명이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는 생각지도 못했던 결과였다. 3학년 권용현 학생은 “수열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니까 숫자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를 통해 도형의 넓이 합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공식도 유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교내 축제에서는 TV 프로그램 에 등장한 게임인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온도를 잴 수 있다. 현재까지 나온 볼츠만 상수의 값은 1.3806AA × 10-23 J/K다. AA라는 두 개의 숫자를 2018년까지 정해야 한다. 양 연구원은 “2년 전연구를 주도하고 있던 프랑스와 영국팀이 각각 측정한 값이 100만분의 3 크기로 서로 달라 문제가 됐다”며 “우리 연구팀이 영국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것과 똑같은 실험을 온라인으로 했다. 실험결과 뉴욕타임스 독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숫자는 10%가 선택한 33이었다. 그 다음으로 5~6%가량이 선택한 22, 0, 1이 뒤를 이었다. 이 실험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 깊이는 대개 한 번 또는 두 번인 셈이다.송 : 결론은 검은색 0을 낸 다음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저장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다. 컴퓨터가 사용하는 기계어는 0과 1로 이뤄진 이진법 숫자다. 세포는 A, G, T, C 등 네 가지 염기로 DNA에 기록을 남긴다. 후성유전도 세포에 DNA 사용법을 알려주고 기록하기 위한 언어가 필요하다. 후성유전의 언어는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이다.0DNA 메틸화는 ...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해 뙤약볕에 논밭을 매는 노인층 말이다.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고령층 숫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현재도 폭염사망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가 56%로 전체의 절반을 넘는다. 20대 사망자가 6%인 데 반해 70대 사망자는 20%에 이른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의 경우 연평균 182명이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