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단위계에서는 아보가드로수를 정확한 값(6.02214X × 1023)으로 약속해 놓았다. 마지막 유효숫자 X는 앞으로 더 정확한 실험을 통해 남겨두었다는 뜻이다. 머지않아 과학자들이 정확한 X를 구한다면 아보가드로수는 빛의 속력과 마찬가지로 완벽한 상수로 거듭날 것이다.루드비히 볼츠만은 통계역학을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름 잘하는 분야가 있지 않은가. 시인처럼 아름다운 말은 포기하고, 깔끔하게 숫자로 표현해보자.일단 여기저기 논문을 뒤져봤다. ‘진짜 같은 느낌’ 을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한 연구가 혹시 있을까 했는 데…, 진짜 있었다! 커뮤니케이션학이나 정보통신분야의 학자들이 연구하는 실재감(Presence ... ...
- ‘앵그리버드’의 몸은 왜 빨간색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런 다음 이들에게 사진 속 주인공이 화가 났거나 공격적으로 보이는 정도를 1~7의 숫자로 점수를 매기게 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남성이 빨간색 옷을 입었을 때 가장 위협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람이 화가 날 때 얼굴을 붉히는 것처럼 자연계에서 빨간색은 공격의 신호로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과 같은 분수지요. 프랑스가 베트남 사이공에 세운 인문과학연구기관인 극동학원에서 이 숫자를 바탕으로 보수를 진행하던 중 내전이 일어났는데, 공사를 중단한 사이 건물 일부가 무너져 버렸다고 합니다. 애써 맞춰놓은 퍼즐이 다시 흩어진 것이지요. 다행히 지금은 원래 모습에 가깝게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여러 가지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계산기에 숫자와 기호를 넣어 답을 얻는 것처럼 일정한 공식이 정해져 있지 않다.영화 ‘쥬라기 월드’는 화려하고 다양한 공룡과 함께 손에 땀을 쥘 만큼 재밌는 장면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새로운 생명체 탄생에 대한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런 일이 반복되자 각종 사이트들은 비밀번호를 강화하기 위해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모두 포함한 8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요구하기 시작했다.비밀번호를 만드는 사람은 죽을 맛이다. 이렇다 보니 한 번 만든 비밀번호를 여기저기 계속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따라 새겼다.“으악, 숫자가 너무 복잡해요. 이걸 언제 다 새기지?”“일단 1, 5, 10 등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를 외운 뒤 그려봐. 훨씬 쉬울 거야.”독자기자들은 저마다 곱셈표를 그리는 노하우를 주고받으며 재미있게 만들었다. 점토판을 다 만든 독자기자들은 파피루스 종이에 사인펜으로 이집트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하면 어렵고 복잡한 도표와 숫자가 떠올라 머리가 아픈 친구들이 많죠. 하지만 통계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통계를 활용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에 참가한 친구들은 어떻게 통계를 활용했는지 함께 살펴 봅시다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주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6’ 방식이 대안으로 등장했다.IPv6는 숫자와 알파벳을 조합해 8개 구간에 문자를 4개씩, 최대 32자리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2001:0230:abcd:ffff:0000:0000:ffff:1111’ 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주소를 무한할 정도로 많이 만들 수 있기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원리, 참 쉽죠? 비음수 행렬 분해기법은 ‘텍스트마이닝’에서도 써요. 인터넷에는 숫자로 된 정보도 있지만 한글, PDF, 파워포인트 같은 복합 문서나 블로그, SNS처럼 일정한 형식이 없는 정보가 더 많죠? 문서 형태에 관계없이 글로 된 모든 정보를 0과 1로 바꾼 뒤 유용한 정보만 뽑아내는 것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