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구별할 수 있는지 시험한 결과, 높은 정확도로 구분해 냈다. 구글은 2014년에 이미지 인
식
에러율을 6.7%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올해 3월엔 4.8%로 낮췄다. 에러율 값으로만 보면 사람보다 더 정확하다.필자는 이런 추세라면 영화 속 ‘터미네이터’가 실생활에 등장하는 것도 시간 문제라고 본다. ... ...
작은이빨톱상어는 섹스 없이 후손 낳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수컷과 암컷의 성관계(교미)를 통해 후손을 생산한다. 그런데 최근 단성생
식
을 하는 척추동물이 발견돼 화제다. 미국 스 ... 나왔다. 필즈 교수는 “멸종위기종인 톱상어 암컷이 짝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단성생
식
을 하도록 진화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점수를 준다. 또 ‘나가셨다’라는 공통된 서술어도 있으므로 추가로 점수를 더하는
식
이다. 점수가 클수록 표절일 확률이 높아진다.Q 몇 점이 넘으면 표절인가A 점수에 따라 표절 확률을 계산한 확률 분포표가 있다. 점수가 1000점이 넘으면 두 문서가 독립적으로 작성됐을 확률(표절이 아닐 확률)이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방정
식
을 단지 미분방정
식
일 뿐이라고 보는 접근이다. “입 다물고 계산이나 하라”는
식
의 관점이며, 동시에 현재의 주된 관점이기도 하다. 나아가 아인슈타인 자신을 비롯해 여러 학자들이 여러 가지 개념적 문제들을 세세하게 다뤘다. 이런 논의는 우주의 탄생과 진화연구로 연결됐다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연구를 할 때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협력해야 한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은 특정 공
식
으로 설명할 수 없고, 감염자 수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번 메르스 확산도 마찬가지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는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질병관리본부에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손이 더 날렵했다. 이날 잠깐 머물면서 신 박사는 딱정벌레 6종을 채집했다. 이런
식
으로 2~3일에 한 번씩 야외실험실을 찾아 채집하고 있다. 올해 시작한 딱정벌레 연구는 내후년까지 이어진다. 딱정벌레는 파리보다 연구가 좀 더 어렵다. 온도뿐 아니라 먹이조건이 달라도 성장속도가 크게 달라지기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NASA 산하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개발한 로봇으로, 팔다리가 따로 없이 네 개의 전동
식
다관절 로봇팔을 붙인 구조다. 임무 수행속도가 느린 점이 단점으로 지목됐지만 어떤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독특한 구조였다. 4위 팀 ‘님브로 레스큐’는 보행을 포기하고 다각도로 구부러지는 네 개의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알고리즘을 운영하고 있다. 뉴스부터 기업광고까지, 내 뉴스피드에 올라오고 있는 소
식
들은 나의 인간관계를 분석한 산물이다. 내가 뭘 좋아할지, 어쩌면 소프트웨어가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을지 모른다. 공동기획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기울기 계산(기울기=반응속도상수)↓최종 반응속도상수를 구하고 이를 최종 반응속도
식
에 대입해 유통기한 산출↓이 값에 안전계수를 곱해 최종 유통기한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평행선 공리’ 하나가 잘못됐다는 의미가 아니예요. ‘기하학=유클리드’라는 등
식
이 깨져버린 거에요. 자신만의 기하학으로 세상을 그릴 수 있는 자유가 찾아온 거죠.변하지 않는 모습이 중요하다아예 절 추상적인 기호로만 표현할 수도 있게 됐어요. 여기엔 독일의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의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