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막으려면 비방사성 요오드로 미리 갑상선을 채우면 된다. 해조류나 요오드제를 먹는 식으로. 그런데 이마저 없는 상황에선 최후의 수단으로 빨간약을 꺼내자. 기억하고 있겠지만, 빨간약의 주성분은 요오드다. 그리고 피부에 발라도 우리 몸에 조금씩 흡수된다. 방사성 요오드는 반감기가 짧아 몇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그 결과 한 번 반죽을 밀고 반으로 접었을 때, 처음 버터의 높이 x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f(x)는 버터의 나중 높이). 아무리 늘여도 반죽은 2를 넘지 않고, 2가 되면 다시 반으로 접어 1이 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 버터 입자들이 아주 멀어지면서 반죽에 골고루 섞인다.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수원으로 편지를 보낼 때, 일부러 중국 베이징의 우체국으로 보내서 차단망을 피하는 식이다. 음란물도 막힌 경로를 피해 다른 사이트로 돌려서 받으면 되지 않을까.“우회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박 팀장은 과거 프록시 서버를 이용해 음란물에 접근하려했던 ‘엑스키퍼 무력화 카페’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앵커 (할 말을 잃음) 농담…이시죠?(두두두 둥두둥~ 노래 반주)나사 앵커 오늘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방금 활약한 기자 5명을 비롯해 저희 취재기자 20명이 지구 주위를 돌며 기후변화를 관측하고 있습니다. 현재 훈련시키고 있는 기자 13명도 앞으로 2022년까지 우주에 배치할 계획입니다.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한번 가면 며칠씩 머무르며 건축 구조의 안전성과 훼손 여부 등을 조사합니다. 이런 식으로 이름만 들어도 친숙한 중요한 문화재 23곳을 두세 번씩, 한 해 총 70번 정도 방문합니다. 사실 문화재청은 1981년부터 주요 문화재를 대상으로 구조 등의 안전성을 조사해왔습니다. 하지만 좀더 체계적으로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을 곱하면 같은 속력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죠. 처음엔 아주 신기했어요. 우리 작업 방식을 보고 수학이 이렇게 예술적인 곳에도 쓰일 수 있다는 걸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요.”수학 이야기를 이렇게 즐겁게 하는 아티스트들이 또 있을까.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장재호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매일 6만6000번에 달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했으며, 다양한 정책과 공약, 전달방식에 따라 여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했다. 캠프는 미국 인터넷기업인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했는데, 최대 5000대의 서버에서 초당 4GB에 이르는 작업을 처리했다. 맞춤형 선거전략은 성공했다. 오바마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자신감을 갖고 서로의 감정에 솔직하라는 말인 것 같네요. 이번 벚꽃엔딩은 다락방 식구 모두 꼭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맞으시길 바라면서 오늘 방송을 마치겠습니다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반드시 1개/nL 농도의 바이러스가 있다. 처음(1개/mL) 보다 100만배나 진한 농도다. 이런 식으로 큰 물을 작은 물로 잘게 쪼개면, 낮은 검출 성능으로도 민감하게 목표를 찾아낼 수 있다.표면전하도 작은 물을 가만두지 않는다. 물질의 내부와 외부는 전기적 준위가 다르기 때문에 표면에 전하가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치러야했기에 모두가 극단적인 거짓말쟁이가 되진 않았지만, 지금도 우리는 매일 무의식 중에 의도적인 혹은 선의의 거짓말을 한다.인간의 속임수는 동물과 차원이 다르다. 상대방뿐 아니라 자신도 속일 수 있다. 심리학 용어로 ‘자기기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거짓말을 할 때는 티가 난다.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