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카메라"(으)로 총 2,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덜 자랐군, 패스~’ 양상추 수확하는 AI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9.08.08
- 수확할 시기가 된 양상추만 선별해 잘라낸다. 또 양상추를 절단하는 날 근처에는 카메라가 달려 있어 수확 과정에서 양상추의 손상을 막고, 로봇 팔로 양상추를 잡을 때 찢어지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이이다 후미야 케임브리지대 공학부 박사는 “로봇 팔의 압력을 ...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8.07
- 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연구진은 또 ‘전자직접검출 카메라’를 검출기로 사용해 검출 한도를 10배 정도 높였다. 광학현미경은 투과나 반사된 빛을 이용해 이미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지만 전자현미경은 시료의 모습을 담은 전자를 광자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전자로 ... ...
- "미래소재 연구에 역량 집중하고 못 따라오게 사다리 걷어차야"동아사이언스 l2019.08.02
- 차지하고 있어서 수출 규제 대상이 되면 2차전지 생산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카메라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제조용 메탈 마스크 등도 일본의 점유율이 높아 위험한 소재로 지목했다. 일본의 소재 경쟁력은 산업계를 위한 ‘뭉침’에서 나온다는 ... ...
- 셀카는 얼굴 각도가 중요하다팝뉴스 l2019.07.31
- 제공 셀카를 촬영할 때 각도가 중요하다. 보통은 카메라가 아래쪽이 아니라 위에 있어야 좀더 보기좋게 촬영이 된다. 이 셀카의 기본 법칙을 잘 설명해주는 고양이 사진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고양이 앞에는 두 개의 거울이 있다. 하나는 턱 아래이고 다른 하나는 얼굴보다 높은데 ... ...
- 日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 샘플 채취 순간 포착 영상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9.07.30
- 류구 샘플 채취 시도로 실제 영상보다 10배 빠르게 재생된 상태다. 하야부사에 달린 카메라가 채취 당시 영상을 촬영했다. JAXA 제공 하야부사2호가 지난 11일 류구에 착륙을 준비 중이다. 하야부사2는 탄환을 소행성으로 발사한다. 표면에 탄환이 부딪혀 폭발하는 순간 하야부사2호는 튀어오른 ...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 예상보다 2배 이상 빨리 녹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28
- 잠겨 있는 형태를 스캔하고, 빙하가 움직이는 속도를 레이더로 측정했다. 타임랩스 카메라로 빙하가 부서지거나 녹는 모습을 촬영하고, 빙하가 녹으면서 흘러나오는 물의 흐름과 수온, 염분의 변화, 빙하가 움직이는 속도 등도 쟀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이론에 입각해 빙하가 얼마나 빨리 녹고 ...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동아사이언스 l2019.07.26
- 교실 크기 반만 한 돛이 펼쳐졌다. 협회 측은 24일 라이트세일2호에 내장된 두 대의 광각 카메라로 이 과정을 촬영해 돛이 성공적으로 펼쳐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데이비드 스펜서 행성협회 라이트세일2호 임무담당자는 “중요한 고비를 넘겼다”며 “궤도를 변경하는 기술을 실증하고 비행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2019.07.25
- 수 있다. 마침 내가 지난 2018년 7월에 로마와 바티칸을 방문할 일이 있어 그때 꽤 좋은 카메라와 렌즈로 찍어 온 사진도 있다. 장비가 아무리 좋아봐야 내가 찍은 사진은 뭔가 엉성하고 모자라 보인다. 그래도 직접 찍은 사진을 보여주면 현장감이 살아나는 것도 사실이다. 《아테네 학당》의 ... ...
- 태양풍으로 날아가는 '우주 돛단배' 시험 비행 시작동아사이언스 l2019.07.24
- 32제곱미터나 된다. 돛이 태양풍을 맞을 때 추력을 얻어 우주를 비행한다. 또한 광각카메라 2개가 달려 있어 우주비행 동안 다양한 이미지를 수집할 예정이다. 태양은 우주로 광자를 방출한다. 광자는 질량은 없지만 운동량이 있다. 그래서 돛단배가 바닷바람을 가르고 달리는 것처럼 라이트세일 ...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발사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9.07.23
- 통신을 담당할 장비와 과학 임무를 수행할 8개의 탑재체를 태운다. 달 표면을 광학 카메라와 X선 분광기, 적외선 분광기를 통해 분석하고 합성개구레이더(SAR)로 달의 극지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얼음을 탐사한다. 달의 외기와 이온층을 분석하고 태양에서 날아오는 X선을 분석할 장비도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