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은 거대한 가스 창고?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달에 갈 우주인은 화산 가스를 주의해야 할지도 모른다.
미국
브라운대 피터 슐츠 박사 연구팀은“약 1000만년 전까지 달 내부에서 가스가 분출한 증거를 찾았다”고‘네이처’11월 9일자에 밝혔다. 45억~46억년으로 알려진 달의 나이와 비교했을 때 1000만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지금까지 알려진 달은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탐사하기 위해 쏘아 올린
미국
의 달표면 탐사기 19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모두 5기가 발사되었다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경각(傾角)이 작은 궤도로 발사되었고, 4 · 5호기는 경각이 큰 궤도로 진입시켜 달의 극지방도 탐사할 수 ... ...
DAY2 따사로운 적도에 들어설 꿈의 우주공항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부지에 들어설 우주공항은 지난 6월 미 연방항공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이곳은
미국
의 ‘로켓플레인’(Rocketplane)이 새로운 주인이다. 로켓플레인은 현재 호주의 우메라 로켓 발사 기지도 업그레이드하고 있어 이르면 2008년부터 이곳을 우주공항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텍사스에도 두 곳의 ... ...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입을 우주복을 디자인하되 기능적이면서도 과학적이고 스타일까지 살리라는 것. 이는
미국
의 우주관광기업인 ‘로켓플레인’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로켓플레인은 현재 ‘로켓플레인 XP’라는 우주여행 전용선을 개발하고 있다. 로켓플레인 XP는 전투기 크기로 조종사 1명 외에 승객을 3명까지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비행사들 사이에 감정적인 균열이 생겨 집단생활이 어려워질 소지가 다분하다. 1992년
미국
최초의 부부 우주비행사인 마크 리와 제인 리는 우주공간에서 성행위를 실험했지만 귀환 후 의료진과의 인터뷰에서“성교를 하기가 어려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2000년 프랑스의 한 ... ...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진화하는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900년대 초 전화기가
미국
사회에 보급되자 이웃 간에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 정이 사라진다는 비판이 일었다. 하지만 곧 전화 덕분에 소식을 쉽게 주고받게 돼 인간관계의 폭이 넓어진다는 반론이 힘을 얻었다. 새로운 정보통신 수단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다. 정보통신기술은 인터넷 ... ...
기획1. 모바일 三國志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모바일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화기, 라디오, 텔레비전, 유선 인터넷은
미국
과 유럽이 먼저 보급에 나서 관련 산업과 문화를 이끌었지만, 모바일 미디어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선도하고 있다. 2006 독일월드컵 때 독일의 한 디자인회사가 본선에 진출한 32개국의 이미지를 축구공에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훨씬 자유롭게 활동할 것이다.도마뱀의 부착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밝혀낸 뒤 2006년 초
미국
스탠퍼드대에서는 게코도마뱀을 본떠 유리벽을 기어오를 수 있도록 만든 로봇인 ‘스티키봇’(Stikybot)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섬모처럼 3차원 구조물을 나노미터 규모로 정교하게 만들기는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때의 눈금을 100으로 해 그 사이를 100등분한 눈금(화씨온도)을 사용했다. 요즘 화씨온도는
미국
과 영연방에서만 쓴다.보통 온도계는 표준온도계와 비교해 제작한다. 온도의 표준을 재기 위해서는 25K 이하에서 증기압이나 기체 팽창을 이용한 온도계를, 1200K에선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첫 외국인이라 등급 외로 분류돼 흰색 배지를 차고 다녔어요.”10년 전인 1996년 권 교수는
미국
생활을 마치고 모교인 서울대로 돌아왔다. 1999년 창의연구단에 선정되고, 올해 초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하기까지 그의 행보는 거칠 것이 없어 보인다. 학생들이 보는 권 교수는 어떤 사람일까 ... ...
이전
958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