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위성탑재 망원경'의 출현은 천문학에 새 지평을 열고 있다.생각해 보라!수 천년 동
안
사람은 4천Å-7천Å의 눈으로만 우주를 보아왔고,감광유제가 발명된 이후에도 2천9백Å-1만Å의 스펙트럼 영역에 갇혀 지냈다.그러던 중 1932년 칼쟌스키가 은하중심에서 오는 전파를 검출함으로써 천문학은 새로운 ... ...
4. 21세기를 여는 통합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그 중 초대칭성이라고 하는 새로운 대칭성과 테크니칼라와 같은 새로운 상호작용을 제
안
했다. 이러한 모든 이론들의 특징은 새로운 상호작용과 입자가 존재하고 이들은 약 ${10}^{16}$GeV에서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통합된다. 새로운 힘은 이보다 작은 에너지에서는 매우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구조대가 떠난다. 우여곡절 끝에 화성탐사대원들은 수수께끼의 구조물에 도착하고 그
안
에서 옛날 화성인들이 남겨 놓은 홀로그램을 만나게 된다. 문명이 찬란한 과거의 화성에는 바다가 넘실거리는데….최근 개봉된 SF 영화 ‘미션 투 마스’의 일부 내용이다. 시나리오를 비롯해 탐사선 세트, 소품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에 있는 천체를 관측함 으로써 은하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는 것이다.NGST의 설계는 여러
안
이 제시됐으 나 대략 지름 8m의 적외선 전용 망 원경으로 구사돼고 있다.NGST 는지구 상공을 도는 기존 우주망 원경과 달리 지구 뒤쪽의 L2궤도 (그림 참조)에 놓아 태양빛에 방해 받지않고 관측하도록 계획돼 있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떨어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보통 터널에 들어갔을 때 라디오가 지지직거리며 잘
안
들리는 것은 전파가 터널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터널에 의해 전자기파가 흡수되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근래에는 무선수신장치를 설치한 터널이 많아 대부분의 터널에서도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 ...
손목시계 크기의 화상전화기 실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증가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배터리 기술 극복이 과제"지금 추세라면 10년 내 IMT2000이 시계
안
에 들어가는 단계까지 발달할 것입니다." 연구실을 이끄는 백경욱 교수의 말이다.손목시계를 보며 화상전화가 가능한 시대가 곧 열린다는 의미다.물론 배터리 기술이 이 수준에 따라온다는 전제에서 말이다 ... ...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워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루어진 유기화합 물질이다. 어느 순간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이 바뀌면 우리 몸
안
에 있는 유기화합물을 이루는 수소 원자가 7분이 지나면 중성자로 바뀌고 화학결합을 더 이상 이루지 못하면서 우리 몸은 산산조각날 것이다. 우리 몸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 ...
3. 고에너지가속기가 해결하는 20세기 숙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인류의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해주는 연구다.하지만 긴
안
목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연구는 학문적인 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관련 과학 기술 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접분야의 신기술개발을 수반하게 돼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인터넷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밝은 부분이 그리스문자 오메가(Ω)와 닮았다고 해서 ‘오메가성운’으로도 불린다. 쌍
안
경으로 보면 은하수 속을 헤엄치는 오리가 연상되기도 한다. 이 발광성운은 아래에 비스듬히 보이는 거대한 암흑성운의 일부로 알려져 있다. 5백50광년 크기의 이 암흑성운에는 태양질량의 30만배에 달하는 ... ...
해프닝으로 끝난 상온핵융합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증거인 '과잉열'과 '중성자 방사선'에 대한 실험값이 일정하지 못했고, 팔라듐 격자
안
에서 발생한 압력으로는 핵융합이 도저히 일어날 수 없다는 이론적 계산이 나왔다. 결국 폰즈와 프라이슈만의 상온핵융합 실험은 격렬한 논쟁 끝에 '공식적'이고 '정통적'인 과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한편 ... ...
이전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9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