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대학원에서 연구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3~4학년 학부생이 졸업논문을 쓰기 위해 대학원 실험실에서 대학원생의 도움을 받아 연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이미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황 학과장은 “이런 프로그램이 본인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가 될 ... ...
- [Culture] 곤충 웹툰 작가 ‘갈로아’가 해설하는 앤트맨과 와스프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생각을 했거든요. 그래서 전공도 생명과학으로 정했죠. 곤충에 대한 심층 지식은 논문이나 책, 전문가 취재를 통해서 얻고 있어요. 곤충전문가인 박규택 강원대 명예교수, 남기수 대전과학고 교사 등에게 자문을 하고, 개미를 연구하는 동민수 씨에게도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Q. 만화는 언제부터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품질을 확보하고 고도화된 석조문화재 수리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30여편의 논문으로 발표됐고, 5건의 기술특허도 확보했다.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어떤 문제에 부딪혔을 때 대부분 쉽고 빠른 해결방법을 찾게 된다. 그러나 문화재 보존의 경우 때로는 어렵고 느린 방법이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예요. 저도 학부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쓴 교수님의 논문을 보고 제자가 되기로 마음먹었거든요. 전 지도 교수님과 친해지고 싶은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이석형입니다. 박사과정 1년 차 때 교수님께서 필즈상을 받으시면서 갑자기 엄청나게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고른 겁니다. 이 결과는 벌이 0을 양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에이드리안 다이어 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 연구원은 “0은 쉽게 이해하기힘든 수학 개념”이라며, “사람도 0을 배우는 데 몇 년이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또 “0은 현대 수학과기술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과학자의 논문 속에서 AI는 세상만사를 해결할 수 있는 만능해결사지만, 현실은 영화나 논문보다 훨씬 복잡하다. 때문에 AI가 내린 결과를 온전히 믿고 결정하게 될 때 까지는 시간이 꽤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알고리즘과 함께 인공신경망을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변화가 동반될 때에야 AI는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이에 막 알려지기 시작하던 때, 이휘소 박사와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의 초기 우주론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양수발전소 지하 700m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실험을 해왔다. 실험실을 지하에 만든 이유는 윔프가 아닌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요소다.이 씨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으로 자신을 차별화시킨 케이스다. 소논문과 과제 연구, 글쓰기와 표어, 영어 대회 등 다양한 학교 활동에 활발히 참여했고, 그 과정에서 배우고 느낀 것들을 통해 진로를 정할 수 있었다. 그는 “비록 실패했던 것이라도 조선해양공학으로 진로를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랄 보어가 이 문제의 답은 ‘예’라고 말했다고 적었습니다. 문제는 그 풀이가 적힌 논문을 아직 아무도 찾질 못했다는 겁니다. 과연 풀긴 푼 걸까요? 아니면 찾지 못한 걸까요? 그런데 최근 이 문제가 풀렸습니다. 한국과 슬로베니아, 독일의 다국적 연구팀이 2018년 6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관련된 논문을 아카이브에 올렸다. 응용수학의 스타 스탠리 오셔도 있다. 올해 쓴 논문만 이미 12편이고, 74세였던 2년 전에는 우리나라 서울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딥러닝과 관련된 공동연구를 했다. 나이가 많으면 수학을 못 한다고? 하디의 발언에 어퍼컷을 날릴 수 있는 기회다. ▼관련기사를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