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류의 가장 큰 에너지원인 화석 연료는 식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퇴적된 것입니다. 식물은 햇빛을 이용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를 당(C6H12O6)으로 전환하는 광합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생장합니다. 광합성은 공기 중 탄소를 지상에 저장하는, 자연계에서 유일한 탄소 저장 도구입니다. 결국 화 ...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2006년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주저자로 참여해 발표한 파킨슨병 관련 논문은 지금까지 1250회 이상 인용될 만큼 파킨슨병 연구의 ‘바이블’이 됐다. 당시 이 교수가 속한 연구진은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원인이 미토콘드리아라는 세포 소기관의 이상으로 발생한다는 점을 처음으로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랬더니 존 녹스 미국 조지아대학교 교수가 연락해왔죠. 그렇게 공동연구를 시작하고 논문도 낼 수 있었어요. 그렇다고 제가 수론에만 관심이 있는 건 아니에요. 음악 구성 요소는 모두 수학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 작곡할 때도 수학을 써요. 수학과 음악이 만나면 더 멋진 곡이 된답니다. 확인하고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대상에서 제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선 교수는 UCSF 연구팀과 컬럼비아대 연구팀의 논문을 비교한 결과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두 연구는 공통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뉴런 생성량이 급감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하지만 분석 방법이 다르다. UCSF 연구팀은 태아에서 신생아, 3주, 1개월,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삼총사’를 모두 갖췄다. 스위스는 인구 1만 명당 발표하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수가 39.9편(2016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물성을 분석할 다양한 거대 시설을 갖춘 것이 그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신소재 후보는 무궁무진하다”며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거는 핵미사일로 공격할 그 소행성이니까, 아무래도 관심도 많이 받는 거고 하니까 좋은 논문도 쓸 수 있을 거고. 그러면 업적도 되고 그렇겠지. 그런데 너무 거기만 매달리는 건 좀 그렇지 않아? 뭐, 이기적이라고까지 하기는 좀 그렇지만. 그러니까, 내 말은 오히려 자기한테도 안 좋은 거야.” 김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학교생활을 제공한다. 또 멘토링 제도가 활성화돼 있어, 학생들이 과제 연구와 소논문(R&E) 활동 등 수학·과학 관련 연구 활동을 진행할 때 교사와 선배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박 부장은 “수학과 과학에 흥미와 관심이 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당장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페르마를 꼽겠다”며, “페르마의 수학 능력은 아주 뛰어났다”고 말했어요. 다만 “논문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주로 편지에서만 장난치듯이 수학 내용을 남기는 등 아마추어같이 행동했다”고 설명했어요. 카르다노는 의사, 메르센은 신학자페르마가 수학자가 아니었다는 데 놀라셨나요 ... ...
- [영재교육원 탐방 5]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영재들만의 학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방식도 독특하다.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은 초등부 심화반과 중등부 심화반, 그리고 논문을 쓰는 사사과정으로 나뉜다. 초등부 심화반은 수학, 정보과학, 과학을, 중등부 심화반은 수학, 정보과학, 물리, 화학, 생물 중 하나를 전공으로 선택한다. 심화반은 교육청에서 인가한 영재학급 또는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데 성공했다. 이탈리아의 생리학자인 루이지 갈바니는 생체전기를 발견해 1791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개구리를 해부하던 중 칼이 개구리 다리에 닿자 근육이 꿈틀거리는 것을 목격하고, 경련의 원인이 개구리의 근육 속에 축적됐거나 만들어진 전기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파비아대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