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눈을 반짝이며 집중해 1시간여 동안 모형을 만들었지만, 대부분이 완성하질 못해 섭섭박사님께 10분만 더 달라고 요청했답니다. 원서윤 친구는 손목이 뻐근했는지 연신 손목을 주물러가면서도 열정적으로 블록을 완성했지요. 밴드 블록으로 멋진 악어 모형을 만든 유시우 친구는 “단순한 모양의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바꿀 건가요? 대답하기 참 곤란하지요? 이 질문은 1967년 영국의 철학자 필리파 루스 풋 박사가 고안한 사고 실험이에요. ‘트롤리 문제*’로 잘 알려졌죠. 이 문제는 자율주행차를 처음 개발하면서부터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윤리 문제예요. 인간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는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일산에 있는 ‘지렁이농업연구소’를 운영하는 최훈근 소장님은 ‘우리나라 1호 지렁이 박사’라고도 불려요. 아무도 지렁이를 연구하지 않던 1990년대에 처음으로 지렁이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꾸준히 지렁이를 연구하고 계시기 때문이지요. 소장님을 만나 어떤 사연이 있는지 들어보았어요! Q ... ...
- [섭섭박사와만들라보~!] 크리스마스에는 카드를~라보로 비밀 카드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마분지로 만든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가장 밝은 부분인 흰 눈사람을 인식하는 거죠! 섭섭박사님은 흰 눈사람을 인식한 조이콘이 출력 노드로 신호를 보내도록 토이콘 창고에서 ‘스포이트’ 기능과 ‘AND’ 노드를 함께 사용해서 코딩했어요. 그 결과, 흰 눈사람을 인식한 IR 카메라는 조이콘의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적절한 환경에서 길러 만든 ‘인공 뇌’예요.랭커스터 박사는 실험 중 우연히 배양접시에 하얀 좁쌀만 한 물체가 떠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확인 결과, 이것이 뇌 조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실제 뇌는 손 한 뼘 크기지만, 뇌 오가노이드는 약 2mm로 임신 9주 차 태아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들어가서 빠져 나오질 못하거든요. 하지만 여기서 가만히 풀이 죽어 있을 섭섭박사님이 아니죠? “그래! 물속을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는 친구를 만드는 거야!”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페트병을 누르면 잠수부 인형이 물속으로 가라앉는다.이 인형은 17세기의 장난감이에요. 프랑스의 ... ...
- 뇌, 지금 연구 중 이신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지금 연구 중 이신가요? 뇌Part1.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Part2.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Part3. 뇌, 이젠 직접 만든다.Part4. 뇌도 은행이 ... 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 김대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신안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 ...
- [현장취재] 15주년 팬파티, 오늘은 우리가 주인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만들어졌지요. “5, 4, 3, 2, 1! 연결해 주세요!” 우노를 설치한 지 두 시간 뒤, 섭섭박사님과 독자들은 청계천에서 전기가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노와 조명, 스피커를 연결해 보았어요. 카운트 다운과 함께 조명이 반짝였지요. 독자들이 청계천에서 전기를 얻는 데 성공한 거예요! 이날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젓고 있는 새 보이죠?”새벽 6시, 대원들은 국립생태원에서 조류를 연구하시는 강종현 박사님과 송림 갯벌을 다시 찾았어요. 연구진이 준비한 쌍안경을 이용해 갯벌로 날아든 새를 살펴보며 자세한 설명을 들었어요. “저어새예요. 얕은 물속에서 길고 납작하게 생긴 부리를 저어가며 물고기와 같은 ...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큰곰자리 47b, 처녀자리 70b 등의 외계행성을 연이어 발견했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이충욱 박사는 “두 연구자의 발견 이후 외계행성 분야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며, “외계행성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행성 형성 과정을 밝혀줄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