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등장하시나요?정
박사
라는 지구인 캐릭터로 등장해요.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잡학
박사
로 그려지죠. 하지만 저에게 가장 애정이 가는 캐릭터를 꼽으라면 ‘라후드’를 꼽을 거예요. 아우레 행성 외계인인데 인간에 대한 애정을 보이거든요. Q교수님의 연구 분야를 짧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
[섭섭
박사
와 만들라보] '라보 밴드'로 운동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기울어졌는지 인식할 수 있지요. 라보 밴드는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한 거예요. 섭섭
박사
님은 운동 횟수를 알 수 있도록, 각도를 인식하는 ‘입력 노드’를 숫자를 세는 ‘카운터 노드’에 연결하는 코딩을 했어요. 화면에 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카운터 노드와 7개의 ‘빛남 노드’를 다시 연결했지요. ... ...
[섭섭
박사
의 메이커 스쿨] 수력 발전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LED가 있어 최대 300시간까지 조명용 랜턴으로 사용할 수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섭섭
박사
님과 이노마드 박혜린 대표님의 도움을 받아 발전기를 조립했어요. 그리고 청계천으로 나가 이노마드 정승영 이사님과 발전기를 설치했지요.이번 수업은 더욱 특별해요. 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전기와 ... ...
[열혈 가족 인터뷰] 과학자 가족의 어과동 활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봐 아직 못했어요. Q 를 계속 정기구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황정아
박사
: 특별한 목적이 있는 건 아니에요. 다만 아이들의 지식이 편향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구독하고 있어요. 작가가 꿈인 영주에게도 과학 지식은 필요해요. 전 과학이 상식으로 통하는 사회가 ...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연구에 참여한 ESA 마르게리타 기스티니
박사
는 “블랙홀이 별을 먹으며 파괴할 때 나오는 X선을 관측한 것으로 추측한다”면서도 “X선이 주기적으로 방출되는 것은 이전 연구들과 전혀 다른 원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눈에 들어왔지요. 이를 보더니 그릇을 씻다 말고 갑자기 어디론가 사라지는 섭섭
박사
님! 무슨 생각이 떠오르신 걸까요? ☞ 어떻게 된걸까?결과 :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며 큰 비눗방울을 만든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예요. 물이 얼면 얼음이 되듯 아주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 ...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건 이곳에 사는 동물들일 거예요. 국립산림과학원의 권춘근
박사
는 “산불이 뿜어내는 열기는 1200℃에 가깝다”며, “이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생물은 아무도 없다”고 설명했지요.산불의 연기는 사람들의 호흡기와 눈도 공격해요. 국립산림과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 ...
꺼지지 않는 불의 원인은 사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필요하지만, 불 탄 삼림은 30달러면 충분하다.”국제산림연구센터의 해리 푸르노모
박사
는 열대우림에 불을 지르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해요. 숲의 거대한 나무를 베어내고 이를 다시 숲 밖으로 나르는 것보다, 모두 불태워 폐허로 만들어 버리면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불을 ... ...
[과학뉴스] 노벨상에 앞서 발표된 ‘별별 과학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싸는 이유’에 대해 밝힌 미국 조지아공대 패트리샤 양
박사
는 물리학상을 받았어요. 양
박사
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이 대회를 통해 내 연구를 대중에 알리고, 과학과 대중이 친해지도록 만들 수 있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한편 9월 9일, 미국과학진흥회(AAAS)는 허황돼 보였지만 결국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이식하는 방법도 독도의 바다 생태계를 지키는 방법 중 하나랍니다. 이에 대해 명정구
박사
는 “이런 여러 노력은 최근 갯녹음 현상에 대해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어요. 그러나 “갯녹음의 원인은 워낙 다양하고 해역에 따라 복잡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런 노력과 함께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