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해요. 지금 달리는 전동차보다 속도가 25% 정도 더 빠른 새로운 전동차를 개발하고, 빈
선
로를 활용해 역간 운행 시간도 최대 39%까지 줄이는 방법을 연구 중이거든요. 또 사람이 몰리는 시간에는 혼잡한 여러 환승역의 상황도 바꿀 계획이래요. 실시간으로 사람이 몰리는 구간을 전광판에 표시하고,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정확하게 발사되도록 맞추는 일을 영점 조절이라고 한다. 세 발을 쏜 다음, 세 발을
선
으로 잇고 그 정 가운데에 점을 찍는다. 그런 다음 조정 레버를 돌려 옮기면 된다.미션4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그럼 마지막으로 위험에서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은폐와 엄폐에 대해 알아보겠다.”은폐는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
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년 귀환할 예정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우주 자원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는 걸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소행성궤도변경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PART4. 핵융합 실현 기술PART5.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
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삶의 방식이었다. 특히 마지막 날 방문한 미크로네시아 명문고 세이비어스쿨에서 신
선
한 자극을 받았다. 마침 전교생 체육시간이었는데, 학생들이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잔디밭에서 자유롭게 뛰어놀고 있었다. 하루 한 시간씩 체육수업을 한다는 이야기에 “부럽다”는 말이 저절로 나왔다.축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나타내는 세계
선
이다. 빛보다 빠른 물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물체의 세계
선
은 원뿔 안에 있다.민코프스키는 스위스에서 아인슈타인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스승이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남달랐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을 자신의 물리 연구에 도움이 될 정도로만 공부했고, 이를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있을 거 같아. 내가 너희들로 열심히 공부해서 낼은 백점…까지는 못 맞더라고 아무튼 최
선
을 다해 공부하고 멋지게 시험 볼게! 필기구들아, 정말 고마워~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
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일정한 간격과 각도를 두고 떨어져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 지점들을 이어보니 각
선
이 60˚를 유지하며 6개의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매우 정교한 정육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었다. 장소세포에서는 볼 수 없던 격자무늬다. 모세르 부부는 이 세포를 격자세포라고 이름 지었다. 정육각형 모양의 ... ...
[생활] 축구
선
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20번인데 반해 동료
선
수에게서 공을 패스 받은 횟수는 12번이라면 나머지 8번은 상대편
선
수에게서 공을 뺏은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빠진 것이 있다. 실제 패스가 골로 이어져 팀의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다. 수비 진영에서 시간을 끌려고 공을 돌리는 패스와 상대방 문전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