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무너졌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수학계에는 아직도 발견하고 증명해야 할 수학 원리가 무수히 많다. 물론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는 또 다른 힐베르트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언제든 힐베르트를 불러내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게임은 프로그래밍 중에서도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축에 속하는 만큼, 하드웨어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알고 있어야 실시간으로 빠르게 연산하는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다른 개발자들도 그렇겠지만, 게임을 좋아해서였다(웃음). 게임을 좋아하니까 자주 하게 되고,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모순이 생기기 때문이다.이런 모순은 측정하는 순간 스핀이 정해진다는 양자역학의 핵심 원리 때문에 생긴다. 고전역학에서는 측정과 상관없이 물리량들이 이미 정해져있다. 즉, 전자 두 개를 은하 양쪽으로 보낼 때 이미 스핀 값은 정해진 채 이동한다. 이처럼 정보가 전달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연의 규칙과 예외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매력덩어리라고 표현한다. 하나의 원리를 통해 이제 조금 알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어김없이 예외의 경우가 튀어나와 끊임없이 관심을 유도한다. 공부하고, 연구하는 사람에게 화학은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이 책은 ‘불량엄마의 생물학적 잔소리’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증기로 변한다”며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만드는 것이 지열발전의 원리”라고 설명했다. 물 주입 종료 2개월 뒤 지진 발생현재 연구단은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소의 연관성에 대해 결론을 내리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4월 25일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과 스위스-독일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필요하다. 바로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속기도 이 원리를 활용한다. 가속기의 원리 자체는 간단하다. 양(+)극이나 음(-)극 중 한 가지 성질만 가진 구슬이 원통 안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원통은 전기를 연결하면 한쪽은 양극, 다른 쪽은 음극을 띠게 만들어졌다. 이 원통에 전압을 가하면 구슬은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도약법’을 생각해 낸 다음 음악가 조지 안테일 선생과 함께 장치를 설계했어요. 악기의 원리와 수학 아이디어를 합쳐 비밀통신장치를 만들고 특허도 얻었죠. 이 장치가 발전해서 와이파이가 됐어요. 신호를 쪼갠다는 건 수신할 때 다시 코드에 맞게 조합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그러려면 패턴과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원소가 탄생하는 순간을 엿볼 수 있는 장치”라며 “라온을 통해 원소 생성의 근본 원리를 밝힌다면, 결국 세상 만물이 생겨난 과정을 규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 탄생을 관찰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강력한 에너지다. 기본입자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수 TeV(테라전자볼트·1TeV는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얼어붙지만 강바닥은 얼어붙지 않아 물고기들이 살 수 있다. 그간 물이 이런 특성을 갖는 원리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가설만 존재했는데, 닐슨 교수팀이 펨토초 단위로 변하는 물 분자의 구조를 4세대 방사광가속기로 관찰하면서 이유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물을 과냉각시킨 뒤 10μm ...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퇴행성 뇌질환의 명확한 발병 기작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뇌를 유지하는 핵심 원리를 찾는 것이다. 신경세포가 기능을 서서히 상실하는 과정이 노화다. 퇴행성 뇌질환 연구를 통해 신경세포의 기능을 감퇴시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발견하면 결국 신경세포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비결도 알 수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