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원소가 탄생하는 순간을 엿볼 수 있는 장치”라며 “라온을 통해 원소 생성의 근본
원리
를 밝힌다면, 결국 세상 만물이 생겨난 과정을 규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 탄생을 관찰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강력한 에너지다. 기본입자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수 TeV(테라전자볼트·1TeV는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필요하다. 바로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속기도 이
원리
를 활용한다. 가속기의
원리
자체는 간단하다. 양(+)극이나 음(-)극 중 한 가지 성질만 가진 구슬이 원통 안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원통은 전기를 연결하면 한쪽은 양극, 다른 쪽은 음극을 띠게 만들어졌다. 이 원통에 전압을 가하면 구슬은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교차하지 않고도 잘 있을 수 있어요. 즉 뫼비우스 띠는 3차원에 매장돼요.같은
원리
로 클라인 병은 3차원에 있으면 무조건 자기 몸의 일부를 무조건 뚫고 지나가야 해요. 4차원에서야 자연스럽게 있을 수 있지요. 따라서 클라인 병은 4차원에 매장돼요. 결국 4차원에서 온전히 살 수 있는 거죠.미국 ... ...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교수팀이 스펀지와 빵 같은 다공성 셀룰로오스 소재가 액체를 빨아들이는
원리
를 세계 최초로 밝혀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이뤄진 섬유질로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이다. 연구진은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한 탓인지 수학 교생쌤에게 질문이 쏟아졌어. 쌤은 ‘뫼비우스 띠’를 떠올리면 그
원리
를 이해하기 쉽다고 이야기해줬지. 뫼비우스 띠로 만들어진 도로를 상상해봐. 쭉 뻗은 길인가 싶더니 언덕길과 내리막길이 반복해서 나와. 도로 위를 차로 달리다보면 180°로 몸이 비틀어지는 것도 같고, 거꾸로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암호화된 상태에서 정보 분석 동형암호가 암호화된 상태에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원리
는 이렇다(왼쪽 그림 참고). 예를 들어 암호화하는 정보가 10과 15라고 가정하자. 디지털 데이터는 이진수로만 처리되므로 이진수로 변환한 뒤에 암호화된다. 문자도 마찬가지다. 편의상 여기서는 이진수로 ... ...
2018 수학문화축전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아두이노로 움직이는 햄스터로봇 축구대회, 접착제 없이 무게중심과 힘의 분산이라는
원리
만으로 건축물을 만드는 카프라 가족경연대회 등 놓칠 수 없는 이벤트가 준비돼 있죠. 벌써 행복한 5월이 그려지지 않나요?그럼 이번 달은 수학에 대한 편견을 접고 ‘해피매스’하세요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기술이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로 뽑혔습니다. 이 기술 발전에 기하학
원리
는 빠질 수 없습니다. 그런데 3차원 공간을 다루는 공간좌표와 공간도형이 수능 출제 범위에서 빠졌습니다. 이런 수학이 산업기술에 어떻게 쓰이냐고요? 예를 들어 하늘에서 나는 드론을 어떻게 움직이게 만들지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알려주며, 심지어 통역까지 가능한 AI 스피커가 개발됐다. AI 스피커가 말을 알아듣는
원리
는 과학수사에서 ‘목소리 주인’을 찾을 때와 비슷하다. 단어별로 다양한 목소리 데이터를 학습한 뒤, 단어를 들었을 때 확률적으로 이와 가장 비슷한 데이터를 찾아 단어를 인식한다. AI가 언어 데이터를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샤미르, 레오나르드 애들먼 등 3명은 큰 수를 두 소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이 어렵다는
원리
를 이용해 정수론 기반의 ‘RSA 암호’를 개발했다. RSA는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공개키 암호시스템이 됐다. 공개키 암호는 연산 양이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대칭키 암호처럼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큰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