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예정이다. 그리고 이들 엔진을 1단에 5개 내지 9개까지 묶은 KSLV-III로는 천리안
위성
처럼 정지궤도에 6t의 대형 화물을 올려놓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하지만 발사장이나 시험시설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런 대규모 고추력 로켓이 우리에게 적합한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한국형 발사체 이후에는 ... ...
유물
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왜 그런 무모한 욕심을 부린 거지? 그리고 그 사람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나라도 그 유물
위성
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 일에 동참하지 않았을까. 우주국 직원 수백 명이 연루된 미사일 테러라니, 그 많은 사람이 불법 로켓발사에 동의한 건 그런 정도의 설득력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생각에 생각이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난다. 또 내부를 파냈을 때 나오는 토사나 돌무더기를 구멍 외부에 쌓아놓을 수밖에 없어
위성
감시에 금세 들통난다.들통나지 않도록 아주 약한 폭탄을 만들어 실험하면 어떨까. 실제로 약한 지진파를 감지하기는 더 어렵다. 앞서도 이야기했듯 지진은 규모가 작을수록(약할수록) 수가 늘어나기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2만 7700km 거리를 두고 초속 7.8km 속도로 스쳐지나갔다. 방송과 통신을 중계하는 정지궤도
위성
궤도 3만 6000km보다 더 가깝게 지나갔다(그러나 이 소행성은 이번 러시아 운석우와 무관했다).이 소행성은 지난 2012년 2월 22일 스페인 마요르카 천문대에서 최초로 발견했다. 지구와 260만km 거리를 두고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떴어요.
위성
속도가 8km를 넘으면 실패할 수가 없어요. ‘이젠 됐다’ 싶었지요. 속도나
위성
의 궤도만 보면 이번 발사는 상위 1% 안에 들어요(발사센터를 찍은 영상을 보면 다른 연구자들이 환호성을 지르며 기뻐할 때 발사 후 미동도 않던 조 단장이 성공이 확실해지자 박수를 두 번 치고는 자리에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시간 지연이 큰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저고도 무인기 같은 작은 기종은
위성
대신 지상에서 전파를 쏘아 직접 조종한다. 그런데 산악에 가로막혀 무인기가 보이지 않게 되면 통제가 안 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종종 지상 중계기를 만들거나, 공중에 중계용 무인기를 띄워서 운용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무려 마하 20(시속 2만 4500km). 이 속도라면 서울에서 뉴욕까지 30분 만에 갈 수 있다.인공
위성
은 수명이 다하거나 불의의 사고로 고장 나는 그 순간까지 지구 주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한다. 만약 고고도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기도 한 번 이륙한 뒤 영원히 날 수 있다면 어떨까. 이를 위해 개발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리다.비슷한 가설로 얼음으로 이뤄진 혜성이 행성이나
위성
에 충돌하면서 물을 가져다줬다는 설이 있다. 처음 지구가 태어날 때는 물이 없었다가 이후에 외부에서 들어왔다는 것이다. 이 가설이 사실인지 알아내기 위해 과학자들은 각각 지구와 혜성에 있는 물의 화학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따르면, 달 크기의
위성
을 거느린 지구 크기 행성의 약 5%가 행성계에서 쫓겨난 뒤에도
위성
을 여전히 유지했다. 더 나아가 이들 외톨이 행성이 장기간 지질학적으로 활발하다면, 지구처럼 자기장이 형성되거나 해저화산 활동이 있을 수 있다. 전자는 생명체에게 보호막을, 후자는 에너지원을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갈릴레오 갈릴레이다.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을 발견한 갈릴레이는
위성
의 운동을 관측해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 했다.갈릴레이가 측정한 값은 오늘날 알려진 빛의 속도와 오차가 크지만, 광속이 무한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준 최초의 측정이었다.그런데 측정 기술이 발전하고 점점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