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깡통으로 만든 인공
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11.5cm 이하인 깡통을 이용해 정육면체 인공
위성
을 직접 설계하고 만들어 발사했답니다. 캔
위성
체험경연대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cansat.kaist.ac.kr)에서 볼 수 있어요 ... ...
'토성의 달’에 생명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보아엔셀라두스 표면 바로 아래에 거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다른
위성
들과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마찰력이생기면서 지하 바다가 데워져 1초당 200㎏가 넘는 수증기가 수 천 ㎞까지 솟구친대요. 과학자들은 조만간 엔셀라두스에 무인우주선을 보내 표본을 채취해 올 계획을 ... ...
아이스 바처럼 녹아내리는 그린란드 빙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영향으로 점점 빠르게 녹고 있거든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도 그린란드의 빙하를
위성
으로 관측한 사진을 공개했어요. 지난 7월 8일에서 12일(작은 사진에서 왼쪽과 오른쪽) 사이 나흘 동안 섬의 약 97% 지역에서 빙하가 녹았대요.그린란드는 ‘초록색 땅’이라는 이름과 달리 대륙의 약 85%가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이용해 이집트 땅 속에 묻혀있는 고대 유적을 찾고 있어요. 700㎞ 상공에 떠 있는 인공
위성
에서 적외선 카메라로 사막을 보면 아직까지 발견 되지 않은 이집트 유적 수백 군데가 모습을 드러낸다고 해요. 실제 퍼칵 박사가 예상한 지역에서 유적이 발굴되어 고고학자들의 커다란 관심을 받고 있어요 ... ...
북극 하늘에서 본 새하얀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아니라 북아메리카와 아시아도 새로운 각도로 볼 수 있어요. 이 사진은 수오미 NPP 인공
위성
이 지구를 15바퀴 돌면서 찍은 사진을 이어 붙인 것이랍니다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망원경 ATST (Advanced Technology Solar Telescope)를 건설할 계획이다.관측
위성
으로는 2017년 발사 예정인 유럽의 솔라 오비터(Solar Orbiter)가 있다. 역사상 태양 표면에 가장 가까이 근접할 계획으로 지금까지 자세히 볼 수 없었던 태양의 극지방을 관측할 계획이다. 또한, 일본은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설치했으며, 이 자료를 분석해 태양활동 극대기에 아리랑이나 천리안 같은 우리나라 인공
위성
을 보호할 계획이다.이해해야 예측한다일반인 차원에서 태양폭풍에 대비할 수 있는 일은 북극항로로 가는 비행기를 타지 않는 것 정도다(과학동아 2012년 9월호 기사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성장했다가 후퇴한다고 말한다.과학자들은 1979년부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실은 인공
위성
을 이용해 남극과 북극의 해빙 면적을 관측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북반구의 겨울(3월)에 해빙 면적이 약 1500만km2까지 넓어졌다가 가장 작아지는 여름(9월)에는 700만km2로 줄어들었다. 겨울에서 여름으로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데 유리하다. 평준화 제도에 대한 보완책을 도입한 2000년대 이후 자료는 이런 무작
위성
이 줄어들어 분석에서 뺐다.남녀공학이 성적 떨어져조사 결과 단성학교는 성적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는 남학생에게 더 컸다. 남학생의 경우 남녀공학에 비해 남학교를 다닐 때 영어와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용해서 산의 전체적인 지형과 각 부분까지 매우 세세하게 알 수 있다고 한다. 인공
위성
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강우와 수도를 판단하고, 흙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등의 섬세한 연구작업에 들어간다. (…중략…) 주로 비가 많이 오거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은 빨간 선으로 표시된다.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