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의견
평가
진단
생각
사고
견적
d라이브러리
"
판단
"(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말한다. 자존감은 ‘스스로가 얼마나 멋지고 가치 있다 생각하는가’와 관련된 주관적인
판단
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뿌듯함, 자랑스러움처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느끼고 자기비하를 적게 한다. 자존감이 높으면 얼핏 멘탈이 강해질 것 같다. 하지만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렌쉬의 법칙이 모든 동물에 정확하게 들어맞는 것은 아니지만 통계적으로 동물의 크기를
판단
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좋은 아들을 키우려면 젖을 오래 먹여야 한다암컷이 수컷을 따라 커진 이유를 ‘좋은 아들을 낳기 위해서’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수컷끼리 경쟁이 심한 종의 암컷은 짝을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조잡해지는 경우도 있으니 잘
판단
해야 합니다. 감동, 사실성, 현실성을 종합적으로
판단
해서 장면을 선정해야 하죠.특별전시관 둘러보기!‘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이 열린 곳은 원래 전시관이 아닌 쇼핑 공간이었다. 특별전시관은 높이가 최대 4.2m나 되는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해 천장을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장치는 각각의 단계마다 조립공정이 지나고 나면 다시 돌이킬 수가 없어요. 매 순간이
판단
과 결정의 연속이었어요. 더구나 세계에서 거의 처음으로 진행하는 조립공정이다 보니 참고할 자료도 없었어요.”한국을 변방에서 핵심으로 이끈 주역케이스타는 세계적으로도 깜짝 놀랄 사건이었다. 당시 ... ...
[과학뉴스] 화력발전소 부근, 건강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확대 해석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노 교수는 “노출에 대한 수치만으로 건강 영향을
판단
할 수는 없고, 조사 대상자가 적었으며 환경에 대한 조사가 없어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석탄화력과 송전선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화장으로 양 눈의 간격을 알아볼 수 없게 한 것이다.이제 얼굴을 우리 눈으로만 보고
판단
하는 시대가 지나고 있다. 어쩌면 수학은 우리 얼굴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줄지도 모른다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역량을 계산했다. 즉 슛으로 연결된 패스 중에서 어떤 게 가장 많이 연결에 가담했는지를
판단
한 것이다.네트워크 분석★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수많은 구성 요소로 이뤄진 시스템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이다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대한
판단
과도 이어지는 만큼 보수적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행위의 선함에 대한
판단
은 조금 현실적인 기준을 갖춰도 되지 않을까 싶다. 선한 행동은 귀하고 조금이라도 더 자주 일어나는 게 세상에 도움이 된다. 내가 잘못됐다며 비난한 선행이 사실은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었고 숨겨진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알려준 문장이다. “저장했습니다”라는 말을 듣는 순간, 뇌는 믿는 구석이 있다고
판단
해 기억을 포기한 것이다. 곽금주 교수는 “메뉴판처럼 모든 게 준비돼 있는 환경에서, 뇌는 깊이 기억하거나 탐구하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이런 현상을 가속화하는 것이 인터넷과 스마트폰이다. 인터넷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의해서 객관적으로
판단
되는 질병이라기보다는 환자나 환자 주변 사람들이 자각해서
판단
하는 병이에요.화병의 독특한 점은 이뿐 아니에요. 화병은 우리나라의 사회환경과 가족문화 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에서 ‘문화의존증후군’이라고 볼 수 있어요. 작년까지 전 세계 정신의학계에서 주로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