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확대
증가
증대
증축
증보
연장
증식
d라이브러리
"
확장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논문이나 종이책 문화에 고착돼 왔던 과거 역사에 대한 이해를 영상의 힘을 통해 한층 더
확장
시켜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이론이나 학설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복원도 ‘이럴 것이다. 이럴 수도 있다. 이랬지 않겠느냐?’ 등의 추측이나 영상적 학설일 뿐 사실이 아닐 수도 또는 잘못 복원해 역사를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들어서는 미궁은 드워프들의 거대한 지하 도시이다. 계속해서 땅 속으로 도시를
확장
하던 드워프들은 땅 속에 묻혀 있던 고대의 악마인 발록의 잠을 깨웠다. 톨킨의 이런 설정으로 인해 이후의 수많은 판타지에서 드워프들은 땅 속의 악마나 드래곤을 깨우는 역할을 떠맡게 됐다. 어쨌든 관객은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먹거리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것 중에는 번데기와 메뚜기가 있다. 좀더 범위를
확장
시키면 곤충은 아니지만 새우 역시 다리가 열개 달린 갑각류로 절지동물에 속한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꼽히는 침팬지는 개미를 즐겨 먹는다. 곤충을 먹는 행위는 절대로 비정상적이지 않다. 그러나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군사위성을 통해 우주에서 북한의 미사일발사장의
확장
공사를 살피고 아프카니스탄의 테러전쟁에서는 공격할 곳의 정보를 얻는 등 원하는 각국의 군사정보를 획득해 강력한 군사대국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주개발은 21세기에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DNA 컴퓨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아들만의 실험에 사용된 원리를
확장
하면 꼭지점이 1백개가 넘더라도 가능한 경로를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먼저 그는 각 꼭지점에 20개의 염기로 구성된 임의의 DNA 단일나선을 할당했다. 다음은 한 꼭지점에서 인접한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연구해보니 시칠리드가 몸 안에 색소 세포를 가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색소 세포가
확장
되면 색깔이 나타나고, 축소되면 색깔이 없어지거나 연해진다. 시칠리드가 아주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자기의 심리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세포 수준에서 밝혀낸 것이다.얼룩말이 내는 ‘힝힝’의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끄적거리는 인간 본연의 행위에 오히려 가깝다. 컴퓨터는 생물학적 의식을 넘어
확장
하고 싶은 인간 욕구의 최전선이며, 또한 한없이 유니버설해지고 싶은 모든 기계의 이상형인 것이다.인간과 기계, 한없이 가까워지고 싶은 이 두개체, 두세계가 부딪히는 곳이 바로 인터페이스다. 이 두세계는 지난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도달하지 못한 미지의 행성을 항해하는 것”이자, 인간이 통제하는 자연의 영역을
확장
하는 작업이었다. 또 현재 생산되는 합성 의약품도 그의 전합성 기술을 이어받은 것이다.이 밖에 베스트3에서 아쉽게 탈락한 사람은 노벨상을 두번이나 수상한 마리 퀴리(Marie Curie, 1867-1934)다. 그녀는 방사선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미세한 움직임을 측정하면 원자 수준으로 물질의 정체가 드러난다. 부도체 시료까지
확장
이것이 바로 나노과학을 연 제3세대 현미경 중 하나인 주사터널링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이다. STM의 해상도는 0.001 nm. 전자현미경으로는 희미했던 원자 하나하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정도다.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한다.한편 미국 전자현미경 학회와 버클리대를 중심으로 1993년부터 IN-VSEE보다 좀더
확장
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 이름은 MICRO(Microscopy In Curriculum Research Outreach).이 프로젝트는 IN-VSEE와 달리 SPM 대신 전자현미경을 교육도구로 사용한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중·고생들에게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