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393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바탕으로 단일 주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레이저 펄스 내
전기
장의 형태를 정밀 제어해 일정하게 유지했다. 그 결과 단일 주기에 가까운 레이저 펄스가 생성됐다. 단일 레이저 펄스를 활용하자 SFPEH로 생성한 홀로그램을 흐릿하게 만들었던 주기 사이의 간섭 효과가 ...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마일스톤에 등재하게 됐다고 11일 밝히며 ETRI 본원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IEEE 마일스톤은
전기
⋅전자⋅전산분야에서 인류에 기여한 의미 있는 기술적인 성과에 대해 IEEE에서 인정 및 기념하는 프로그램이다. 성과 발생 25년 이후에만 IEEE에 등재 신청이 가능해 일종의 '명예의 전당'이다. 정부는 199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는 신축형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KAIST는 유승협 KAIST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늘려도 고화질을 유지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의 신축형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4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성공했다. 2차원 스커미온의 상온 발현 기술은 최근 미국과 중국에서도 보고됐지만
전기
적 제어까지 성공한 사례는 이번이 최초다. 이번 2차원 스커미온 제어 성공은 상온 큐비트 제작에 활용될 수 있어 초저온 환경에서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위한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FET)' 연구가 활발하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
장이 없어도 전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극성을 띠는 분극 상태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차세대 메모리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FeFET는 외부 전력 공급이 없을 때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이면서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전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극성을 띠는 분극 상태를 스스로 유지하는 물질이다. 외부
전기
장으로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최근에는 하프늄(Hf)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인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메모리가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 하프니아 기반 메모리는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고 ... ...
남성 정액서도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식품 용기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스타이렌(PS)이 가장 많이 검출됐다. 또한 포장재,
전기
절연체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PVC)이 주로 발견된 샘플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가장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폴리스타이렌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생쥐는 정자 생성에 ... ...
가장 작은 유인원 화석 독일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2300만 년에서 530만 년 전까지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유럽 신생대
전기
마이오세의 화석 유적지에서 한 종 이상의 유인원이 발견된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 두 유인원이 경쟁 없이 서식지를 공유했던 이유로 생활 방식이 서로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누비우스 ... ...
'절대영도' 코앞에서 새 양자실험 플랫폼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말했다. 현재 원자로 만든 BEC는 수십 초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자 BEC는
전기
저항이 없는 초전도 현상이나 마찰이 없는 초유체 현상 등 다양한 양자 현상을 탐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 원자 BEC보다 복잡한 이론을 실험해 볼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박 교수는 "쌍극성 분자 기체를 ... ...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GIST)은 박주선 GIST 발전후원회장(대한석유협회 회장·전 국회부의장)이 1000만 원의 발
전기
금을 기탁했다고 5일 밝혔다. 박 회장은 지난해 12월 8일 GIST 발전후원회 제2대 회장으로 위촉됐다. 박회장은 "GIST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이번 기부를 결정했다"며 "GIST가 더 큰 도약을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