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12
한몫(?)했다. 그전까지 우리나라에 대해 기술이전만큼은 관용과 자비를 베풀던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기술이전의 파이프라인을 차단하기 시작한 것. 선진국의 기술이전에 힘입어 성장한 국내 제조업은 '기술수혈'의 중단으로 순식간에 '산업의 피'(기술)가 말라붙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 ...
소련 과학자들 해외취업 붐
과학동아
l
199112
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미 50여명이 핀란드 이스라엘 덴마크 한국 타이완 캐나다
미국
의 연구단체와 계약을 맺고 있다.해외취업을 희망하는 소련 과학자의 주류는 화학자와 물리학자들이다. 그동안 화학과 물리학에 관한한 소련이 어느 정도 비교우위를 누렸던 만큼 이 분야를 전공한 ... ...
해수온도 변화가 남극 오존구멍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12
" 염소화합물을 비롯한 화학물질이 오존층 파괴의 주범이라는 통설에 반기를 든 사람은
미국
해양대기국(NOAA)의 월드 컴힐. 그는 태평양 적도 동부해역의 해면온도가 남극과 그외 지역의 오존분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대기물리학적 원인을 주장한다.그는 과거 25년간의 동태평양지역 해양온도를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12
자동차 소재로 채택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얘기다. 항공기가 신소재의 각축장으로
미국
듀폰사에서 1973년에 개발한 아라미드섬유, 즉 케블러 섬유는 근래에 나온 복합재료중 가장 성공한 소재다. 국내에서도 KIST의 윤한식박사가 개발한 바 있는 이 소재는 같은 무게의 철보다 5배나 강하고 ... ...
패키지화 정품유통 경향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9112
불법복제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온 한 해이기도 하다. 이러한 동기를 부여한 것은
미국
사무용 소프트웨어연합회(BSA)의 불법복제 국내 단속으로 단속 실시후에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적잖은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어찌보면 이들의 조사활동은 자존심 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12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C언어는 왜 인기있는가?현재 국내외 산업계를 보면 1972년
미국
의 벨 연구소에서 어줍잖게(?) 만든 C언어가 가장 인기를 얻고 있다. 이론적으로 보면 허술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렇게 널리 쓰이는 것을 보면 다소 아이러니컬하다. 물론 유닉스(UNIX)의 활발한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12
한 몫을 했다.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국기가 모두 붉은색 흰색 파란색을 사용한다.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이나 빅토리아여왕의 생일인 5월 25일에 이 나라들의 국기가 모두 장미로 장식된 것을 상상해 보라.그러나 이 장미는 아직 이 세상에는 없다. 멜버른의 유전공학자들은 지금 다른 꽃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12
있다.KIST 세라믹스연구단 정형진박사는 "전자 자동차산업의 규모나 연구인력면으로나
미국
일본 독일 다음으로 우리나라를 꼽는다. 다만 정부의 무계획성과 기업들의 오만함으로 80년대에 몇번의 기회를 놓쳤을 뿐이다. 최근 진전을 보이고 있는 한소관계를 잘 활용해 그들의 첨단기술을 익힐 수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12
배워 부분적으로 생명을 부지했던 최후의 국면을 대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그럼에도
미국
학자를 중심으로 한 지역진화설 주창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그들은 자바원인과 1만년전경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의 현대인인 카우 스원프 화석이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증거로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칩
과학동아
l
199112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또다른 연구자인 스튜어트 애치슨 박사는 지난 여름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의 전자광학센터에서 이 소자가 10ps의 속도로 투사된 빛과 같은 시간대에 작동되는 것을 실현해 보인 바 있다. 그는 앞으로 연구가 좀더 진행된다면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며, 종국에 ... ...
이전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9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