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quantum teleportation)은 스타트렉의 순간이동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1993년
미국
IBM의 찰스 베넷을 비롯한 6명의 학자가 양자원격전송을 이론적으로 제안했다. 이 논문에 대한 첫반응은 스타트렉류의 SF쯤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양자물리학의 근본을 연구하던 사람들은 이 제안의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만들지 구상해야 하는데 이런 작업을 ‘시스템 디자인’(system design)이라고 한다.1961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유니메이트’(unimate)라는 로봇을 생산공정에 사용하면서부터 산업현장에 로봇이 등장했다. 현재는 자동차 제조공정의 50% 이상을 로봇이 담당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물론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방류해 돌연변이가 생겼다는 설정은 사회적으로는 환경 문제를, 정치적으로는 한국과
미국
의 관계를 꼬집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괴물 영화 중에는 낯선 외계 생물을 등장시키는 경우도 있다. ‘에일리언’이 대표적이다. 에일리언은 초현실주의 그림에나 등장할 법한 기괴함과 폭력성, 징그러움을 ... ...
나무판과 현이 빚어낸 천상의 소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작은 악기는 뭘까. ‘나노하프’(nanoharp)다. 크기가 불과 적혈구 하나 정도란다. 1999년
미국
코넬대 응용 및 공학 물리학과 해롤드 크레이그헤드 교수팀이 나노기술로 개발했다.비록 현 하나의 지름이 5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라 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을 만큼 가늘고, 진동수가 380MHz(메가헤르츠,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각적으로 좁다고 느끼게 만들어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한다고 한다. 최근
미국
에서도 시카고시 당국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커브길에 촘촘히 줄을 긋는 방안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규정 속도를 지키며 안전하게 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 ...
미래의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얼마 전 일본 도쿄에 출장을 다녀왔어요. 도요다 자동차 회사의 전시장을 찾았는데요, 그 곳에서 찍은 미래형 자동차랍니다. 옆에 있는 작은 사진은 ... 날아다닐지도 몰라요. 영화‘제5원소’에 보면 그런 장면이 나오죠. 자동차를 타고
미국
도 가고, 유럽도 가는 신나는 여행을 꿈꿔 보아요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지닌다. 그렇다면 동물의 무늬는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큰뿔양과 앵무조개는 왜?
미국
알래스카에 사는 큰뿔양의 뿔은 나선형으로 휘어지며 자란다.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래 전부터 지구에 살았던 앵무조개는 나선 모양의 껍데기 속에 몸을 감추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혼'(psyche)과 '측정'(metron)의 합성어다 즉 '물건의 혼을 계측해 해석하는 능력'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 지질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을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아쉽게도 우리 우주인은 선외 우주복을 입지 못할 것 같다. 러시아의 오를란이나
미국
의 EMU (Extravehicular Mobility Unit) 같은 선외 우주복은 우주공간에서 작업하는 동안 착용하는 복장인데, 우리 우주인은 우주정거장을 조립하거나 수리하는 임무를 담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귀환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짙지만 여전히 ‘뽐내기 과학’도 지원한다.러시아가 유인우주선을 먼저 발사하자
미국
이 달에 우주인을 먼저 보내기 위해서 국가적 총력전을 펼쳤던 것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우주개발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한 유용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지금도 이 분야의 발전은 국가적 자부심의 ... ...
이전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9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