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리"(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음악 즐기며 열린 과학의 꿈 키운다과학동아 l199507
- 맥락이다. 결국 이제까지 우리가 훌륭한 예술이라고 생각해 온 음악, 예컨대 고전음악은 논리와 합리(좌뇌)를 바탕으로하는 음의 내적구조에 영감과 열정(우뇌)이 골고루 깃들어 있는 전뇌적 두뇌를 활용해서 만들어진 음악을 일컫는다. 앞으로 인간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컴퓨터 음악으로 ... ...
- 부팅 안되는 컴퓨터 처리는 이렇게과학동아 l199507
- 들어와 있을 때에만 무엇인가를 기억할 수 있는데 반해 이 롬은 제조과정에서 특정 논리를 회로로 심어놓은 것이기 때문에 전원이 있든 없든 그 내용이 유지되며 사용자가 지울 수도 없다.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를 올리면 바로 롬에 들어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그래서 컴퓨터를 켤 때마다 ... ...
- 3. 사용자가 꼭 지켜야할 10가지 '네티켓'과학동아 l199507
- 존중해 준다상대방과 대화 중이거나 그 사람이 올린 게시물, 메일 등에 쓰인 논리나 표현이 부적절하고 기분 나쁘다고 해서 곧장 반박하거나 비난을 하는 것은 좋지 못한 행동이다. 이럴 경우에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지 않을 정도의 수준에서 조심스럽게 양해를 구하는 것이 좋다. 다행히 그 ...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과학동아 l199506
- 않아 왜곡돼 있는 경우, 전후인과의 오류(시간의 순서에 따라 인과율을 설명하려는 논리적 오류)를 범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통계에 속아 넘어가지 않으면서 통계를 현명하게 활용하는 길은 무얼까. 더렐 허프는 다섯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통계의 출처를 캐어보는 일, 둘째 조사방법을 ...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06
- 우주나이 문제는 현대우주론에 심각한 모순점을 노출시킨다. 그 핵심이 바로 암흑물질과 우주상수. 이들이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살펴 ... 이 글을 읽는 차세대 여러분들의 몫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물론 그때까지 우리는 여전히 논리정연하고 아름다운 모델 만드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다 ...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과학동아 l199505
-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고장난 컴퓨터를 위한 장례식물론 마음의 요소중에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부분은 이미 많이 분석이 되었고 자동학습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전문가의 지신이 컴퓨터에 입럭돼 사용되고 있고 글자나 영상 인식 음성 인식 등 감각적인 면의 연구도 많은 발전이 ...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05
- 직선 b', b'', b'''는 l과 만나지 않는다(평행선은 얼마든지 있다).로바체프스키의 기하학은 논리적으로는 전혀 모순이 없다. 하지만 처음에 등장한 것은 언제나 이상하게 보이게 마련이다. 2천년 동안이나 유클리드 기하학에 익숙해온 사람들에게는 기묘하고 비상식적인 것으로만 보였다. 로바체프스키 ...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과학동아 l199505
- 너무 약하며 따라서 네메시스는 궤도 밖으로 벗어날 수 밖에 없다는데 있다.그 논리적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네메시스 가설은 언론의 집중적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여전히 TV에 등장하는 가장 인기있는 공룡멸종 원인이다. 네메시스 가설에 대한 기대가 희석되고 그 과학적 신뢰성이 의심받기 ... ...
- 1. 새로운 환경 대응, 문제해결 능력 있다과학동아 l199505
- 사람이다" "사람은 죽는다"라는 명제로 부터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라는 삼단논법의 논리적 진실을 도출하는 프로그램은 이미 수십년 전에 개발됐다.창조라는 것도 알고 보면 기본 명제들로부터의 새로운 도출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창조라는 것이 애초부터 있을 수 없다. '새로운 사실'은 알고 있는 ...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과학동아 l199505
- 고 마야는 회상했다. 열두살 때 그는 '성스러운 기하학 교과서'를 접하면서 순수한 논리의 힘을 흠뻑 느낄 수 있었다. 그후 4년동안 미적분학을 포함한 기초 수학 분야에 열중하였다.상대성이론에 창조적 역할을 한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밀레바가 아니라 미셸 베소라는 증거가 있다. 아인슈타인은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