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9502
사실로부터 비롯됐다. 이런 접근방식의 어떠한 것도 영상분류과정을 위해 원리에 입각한
논리
(rule-based logic)나 신경망을 도입해야 한다.1992년에 처음 소개된 뉴로메트릭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처리 카드(DSP)와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래스터주사된 프레임을 픽셀표기로 변환하는 프레임그래버 카드를 ...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02
없다. 수학자는 이 모순을 "얼마든지 가까이 갈 수 있을 때는 같은 것으로 본다"라는 무한
논리
로 극복한 것이다.집합론의 모순모처럼 아킬레스의 모순을 극복한 수학에 새로운 또 하나의 모순이 나타났다."${X}_{n}$이 ${X}_{0}$에 얼마든지 가까워지면 그 수열이 X와 같다고 보는 것도 어찐지 억지스럽다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501
아날로그(analog) 4칙계산의 중요한 부분일 뿐 아니라, 디지털(digital) 계산의 기초가 되는
논리
회로 구현을 위한 핵심 기능이다. 따라서 모든 소자 기술의 발달에 있어서 증폭기는 기초이며 핵심소자가 된다. 각종 전자회로의 기본 부품인 진공관과 트랜지스터가 모두 증폭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절대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12
시'라고 격찬했다. 수학과 시는 전혀 관계가 없는 듯 보이지만 이 내용은 딱딱한 수학의
논리
와 기호 속에 풍부한 상상력이 펼쳐져 있음을 말한다.푸리에의 업적은 어떤 함수 f(x)도 삼각함수로서 표시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좀 복잡한 식이지만f(x)=1/2${a}_{0}$+${a}_{1}$cosπx+${a}_{2}$cos2πx+…+${a}_{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12
않는다는 개념이다. 그런데 '진공이 존재한다'는 말은 '아무것도 없는 것이 있다'는 모순
논리
를 잉태하고 있다. 여기서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것이다. 과연 진공이란 자연에 존재하는 것일까?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모순관계에 주목했다. 그래서 이런 모순점을 극복하려 진공, 즉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12
네번째의 도약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메타인류의 개념은 다소 과장되고
논리
적으로 엉성하지만 인류의 다가오는 진화를 기술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까닭에 관심을 끌고 있다.뇌만 남은 미래의 인류인류의 생물진화가 완료된 이후의 세계를 처음으로 탐구한 과학자는 영국의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11
이러한 시기에 강력하게 대두된 것이 인공 신경망 방법론이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논리
적 사고 기능을 훈련시킬 수도 있고 패턴의 분류, 연상기억 등 기존의 방법론으로는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공신경망의 방법론은 강력하고 범용성의 방법론으로 많은 연구가 ... ...
'지구 살리자' 기후협약 유명무실
과학동아
l
199411
공동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보다는 국제사회에서 예외없이 통용되는 '힘'의
논리
가 여전히 이 분야에서도 관철된다는 데 있다.지난 10월 13일 경실련 환경개발 센터가 개최한 '기후 변동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동향과 한국의 대응'이란 주제의 공개 토론회 역시 이같은 점을 다시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11
연결을 통해 무한한 컴퓨팅 능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었으며 계산과 더불어
논리
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그 가능성이 돋보였다.그 후 1957년 미국의 로젠블럿에 의해 개발된 '퍼셉트론(Perceptron)'이란 최초의 신경망 모델에서는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까지 발전했다.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11
뉴턴과 라이프니츠에 의해서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견됐다. 특히 라이프니츠는
논리
학자이기도 했으므로 기호를 만드는 것에도 매우 유능한 실력을 보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적분학의 기호는 거의 라이프니츠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위 그림에서 x가 △x만큼 변하면 y도 △y 만큼 변한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