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부자 되기 2단계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자율을 곱하는 방식이에요. 주식은 매일 가격이 오르고 내려요. 그래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투자하거나 성장하는 회사에 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주식은 회사에 투자하는 것인 만큼 경제 상황,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10년, 20년 뒤에도 잘 나갈 것 같은 회사에 투자하면 더 큰 ...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새길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 교수는 “폭 1200mm 필름 위에 초발수 성능을 가지며 바이러스도 포집하는 패턴을 제조할 수 있는 롤투롤 장비는 세계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함께 참여한 박사과정생들 또한 스타트업을 창업해 마이크로 패턴 제조 공정을 대면적화할 수 ... ...
- [기획] 노벨생리의학상, ‘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온 이민 1세대입니다. 파타푸티언 교수를 필두로 저희 실험실 멤버들은 다양한 국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문화적 배경이 서로 달랐지만 다같이 점심도 자주 먹고 서로 응원해주는 분위기였습니다. 프랑스 출신 박사후연구원인 베르트란드 코스테 연구원이 피에조 유전자를 찾은 날이 기억납니다. ... ...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속도를 ‘균형속도’라고 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가지 전략으로 자율주행차가 균형속도를 찾도록 제어했습니다. 첫 번째는 앞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약간 느리지만 안전을 보장하는 속도를 탐색하도록 했습니다. 앞차와의 속도 차이와 현재 거리를 기반으로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Q 작품을 만들 때 가장 신경 쓰는 점은요? ‘생략, 디테일, 재미요소’ 이렇게 세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어요. 저는 주로 ‘디오라마’ 제품과 ‘3D 상’을 만들어요. 디오라마는 풍경이나 그림을 배경으로 두고 축소 모형을 설치해 역사적 사건이나 영화 속 한 장면을 만드는 거예요. 모든 것을 ... ...
- 아이 엠 그라운드 자기 소개하기! 숫자 10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본책 10쪽과 함께 보세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 10.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숫자 10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 봐요. ...
- [에디터노트] 카테고리 없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주장합니다.이번에 과학동아는 특집을 통해 논란의 대상인 UFO를 다뤘습니다. 세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먼저 UFO라는 이름으로 제보되는 다양한 미확인공중현상에 대해 나름의 논리로 진위를 검증하는 실제 사례를 소개해, UFO 발견 주장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봤습니다. 둘째로 UFO를 진지하게 ...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획으로 글자내에서 가장 굵다. 과거 세로쓰기 한글에서는 기둥의 위치에 따라 글자의 가지런함이 결정됐다. 쓰기 방향 변화로 글줄 흐름에 대한 기여도는 줄었지만 시각적 안정감을 잡아주는 중심 역할을 한다.❷ 부리: 획 끝의 돌기 모양이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졌다. 과거 붓으로 글씨를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최종적으로 양자가 가진 입자성과 파동성을 확률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자를 열면 한 가지 상태로 결정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얼마큼 살아있고 죽어있는지 계산해낼 수 있게 된 셈이다.윤 교수는 “그간 상보성 원리 연구는 입자성을 갖는지, 파동성을 갖는지를 정성적으로 측정하는 수준에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Mixture Model) 분류 기법을 활용했습니다.분류 결과 지구상의 강수 구름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먼저 ‘대륙성 깊은 대류 유형’은 주로 대륙에서 많이 발생하면서 세 유형 중에서 빗방울의 평균 직경이 가장 크고, 빗방울의 수는 가장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육지에서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