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조직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었다. 조직이 해동되는 과정에서 산화철 입자도 자연스럽게 밖으로 빠져나갔다. 2016년엔 포유류의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브레인프리저베이션재단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학년이 낮을수록 다방면에 걸쳐 폭넓게 독서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가까운 지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여러 가지 직업을 알아본다거나 영화나 TV를 활용해서 진로를 모색할 수도 있다. 외교관 되고 싶은데 역사학과 선택?많은 학생들이 본인의 희망 진로와 지원하고자 하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리저리 움직이다 보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적당히 회전하거나 뒤집는 방법 밖엔 없을 거예요. 이런 행위가 위에서 말한 작용이고, 이런 행위가 가능하다면 그 대상은 대칭을 갖는다고 말하는 거죠. 이제 이해가 가시나요? 방정식을 여는 열쇠가 대칭?어차피 원래 모습과 달라지는 게 없다면 ...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때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여러 번 만들어 시도해 볼 수밖에 없습니다. 강아지 다섯 품종을 분류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학습 모형을 만들어놓고 일곱 품종을 데이터로 넣었을 때도 제대로 분류할 수 있을 거라는 헛된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다시 일곱 품종을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8개 관절로 이뤄졌다. 짐은 최대 11kg까지 들 수 있다. 무거운 유리문을 스르르 밀고 밖으로 나간다. 흰 눈이 쌓인 언덕을 걸어간다. 나무와 나무 사이를 조심조심 지나가지만 지형이 울퉁불퉁한 탓에 비틀댄다. 하지만 제법 아장아장 잘 걷는다. 무거운 짐을 번쩍 들어 옮기기도 하고, 누군가가 몸을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산에 엄청난 비용을 투입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로 어마어마한 적자가 기록될 수밖에 없었다. 경영진 입장에서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트라이스타의 생산을 촉진시켜야 한다는 압박이 있어, ‘록히드 스캔들’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예상한다. 언제 구매해야 가장 이득일까이제 다시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이 개발됐다. ‘자동증기배출 포장’은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내부의 증기를 포장지 밖으로 배출시킨다. 반대로 찜기처럼 오히려 용기 안에 증기가 발생하도록 해 식품을 쪄낸 것 같은 효과를 주는 기술도 있다. 식품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옷을 입게 된 것이다. 군대식_ 줄 당기면 바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는 다를 수 있습니다. 세포 비자율적 효과를 갖는 유전자나 기작들은 대부분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을 만들어 내고, 이것의 수용체를 갖고 있는 주변 다른 세포에 영향을 미칩니다. 자멸하는 세포가 남긴 메시지그렇다면 세포 자멸 기작은 세포의 자율적 효과일까요, 비자율적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차지하는 비중은 1.1~1.4%이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2만5000~3만 개로 추정된다. 그밖에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유전자가 약 1만 개 정도 있어서 인간의 유전자는 모두 약 3만5000개로 밝혀져 있다. 인간의 유전체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은 약 99.9% 일치하지만 0.1%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며, 이를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알프레드’였어요. 그밖에도 펜싱선수처럼 걷는 로봇 ‘나비’, 국제로봇축구대회인 로보컵에서 3년 연속 우승한 ‘다윈-OP’, 보조 마술사 로봇 ‘마지’ 등이 전시됐답니다. 데니스 홍 교수님은 직접 여러 로봇들을 시연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