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삼각"(으)로 총 1,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1. 공간 절약의 비법수학동아 l2009년 09호
- 하지만 유연한 벌집을 정사각형으로 만들면 옆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약하기 마련이죠. 정삼각형으로 만들면 튼튼하지만 뾰족한 부분이 있어 애벌레를 키우거나 꿀을 담는 공간으로는 경제성이 떨어져요. 정육각형은 평면을 채울 수 있는 도형 중에 안쪽 각도가 가장 큰만큼 공간도 가장 넓은 ... ...
-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수학동아 l2009년 09호
- polyhedron)'에서 나온 용어다.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곡면삼각형 등을 이용해 다양한 도형을 만들 수도 있고 상상력을 발휘해 로켓이나 배 같은 물체도 만들 수 있다.3교시 토마토와 함께 숫자 여행'토마토', '아리아', '다시 합창합시다'의 공통점은 뭘까?거꾸로 읽어도 똑바로 ... ...
- 2. 재료 절약의 비법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넓이가 100㎠인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그리고 원의 둘레 길이를 비교해 봐요.정삼각형은 한 변이 15.2cm, 둘레 길이는 45.6cm, 정사각형은 한 변이 10cm, 둘레 길이는 40cm, 정육각형은 한 변이 6.2cm, 둘레 길이는 37.2cm이에요. 이에 비해 원은 지름이 11.28cm, 둘레 길이는 35.4cm에 불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면적이 가장 작은 정이십면체의 정삼각형 면적의 3배이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삼각형의 넓이를 넓혀 가면 T=1, 3, 4, 7, 9, 12, 13, 16…로 진행된다. 몇몇 예외가 있지만 구형 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 개수가 60(T=1), 180(T=3), 240(T=4), 420(T=7)…인 이유다.수학은 순수한 사유의 결과물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강수, 습도, 풍향 같은 물리량이 시시각각 어떻게 변할지 계산한다. 격자는 직육면체나 삼각기둥 모양으로 분포하며, 격자 간격을 좁히면 예보의 정확도를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그물코가 좁은 그물을 사용하면 작은 물고기까지 빠트리지 않고 잡을 수 있는 것처럼 격자 간격을 좁히면 날씨에 ...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불리는 살오징어는 가장 많이 잡히고 소비되는 종이다. 몸통이 둥그스름하고 지느러미가 삼각형이며 열 개의 다리가 머리 밑에 달려 있는 살오징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전형적인 오징어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준다. 살오징어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몸 크기가 훨씬 작은 종류는 흔히 꼴뚜기라고 ...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중심에서 각 꼭짓점에 이르는 다섯 개의 선분들이 이루는 각도는 얼마일까. 2차원 정삼각형의 120°는 코사인 값이 -1/2인 각도이고 3차원 정사면체의 109.5°는코사인 값이 -1/3인 각도다. 그러므로 4차원 정오입방체에서 나타나는 각도는 코사인 값이 -1/4이어야 할것이다(이것을 보이는 것은 재미있는 ...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09년 07호
- 결국 착륙선에는 낮은 중력에서 별 필요 없는 실내 좌석은 장착하지 않은 채 가볍고 작은 삼각창과 안정성을 높이는 4개의 외부 다리를 설치했다. 동체는 상승단과 하강단의 2단 구조로 나뉘어 기이한 모습이 됐다. 중량 다이어트에만 집중하다 보니 달에 착륙한 2명의 우주인들은 쪼그려 앉아 잠을 ...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또 그 시대의 지층에서 벼 이삭을 자를 때 사용했던 청동기 시대 유물인 반달돌칼과 삼각형 돌칼도 발견했다. 그때쯤 논농사가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는 꽃가루 화석으로 알아낸 논농사 시작 시기(약 3500년 전)와 엇비슷하게 일치하는 결과다.또 지난 2004년부터 4년 동안 경기 파주, 일산, ...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암수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른 게의 경우와 같다. 몸 아래쪽에 접혀 있는 배딱지가 좁은 삼각형이면 수컷, 넓적한 둥근 모양이면 암컷이다. ‘광아’라는 중국 문헌에는 “수놈은 낭의, 암놈은 박대라고 부르는데, 암놈과 수놈의 차이는 대개 배꼽(臍)이 날카로운 놈이 수놈이고, 배꼽이 둥근 놈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